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사실은 쌍둥이지만 모든 몸의기관이 다른 한쪽 개체의 몸 안에 완전히 들어가 있는
형태
야. 그런데 만약 몸 일부가 바깥으로 나왔다면 어떨까. 머리가 둘 있거나 팔이 셋, 넷, 하체가 하나로 붙어 있는 개체가 나올 수 있겠지. 이런 증세를 ‘결합쌍둥이’라고 불러.”수의사가 말을 이었다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40년째 논쟁이 이어졌다.리키 교수팀은 2008~2009년 사이에 발굴한 턱 화석 세 개의 크기와
형태
를 조사해 3차원 그래픽 기술을 이용해 복원했다. 첫 번째 화석인약 195만 년 전 지층에서 발굴한 어린이 호모 화석은 ER 1470과 구조가 비슷하고 크기가 작았다. 각각 180만 년 전과 195만 년 전에 발굴한 또다른 ... ...
녹색 마녀의 비밀 WICKED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강력한 자기장이다. 연구팀은 이토록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기 위해 솔레노이드(코일)
형태
의 초전도자석을 이용했다.그런데 강력한 자기장이 생겼다고 해서 금속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생쥐가 떠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비밀은 쥐의 몸속에 있는 물이다. 물 분자에 강력한 자기장을 주면 자기장과 ... ...
Part 1. 2등 정자가 임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안으로 들어가는 데는 운동성이 가장 중요하다. 사정된 정자 중에서 운동성이 없거나
형태
가 비정상적인 정자는 처음부터 자궁의 시험을 견디지 못하고 탈락한다. 유전적으로 결함이 있는 정자가 수정능력도 떨어질 수 있다는 가설이 있지만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최근 히알루론산이라는 물질과 ... ...
INTRO. 변신 대 합체, 신화 속 괴물의 과학적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구성돼 있다. 이야기 속에는 여러 가지 동서양 고전문학과 신화 이야기가 패러디
형태
로 숨어 있다. 모두 대학생 권장도서 수준이다. 읽으면서 하나하나 찾아내는 재미를 만끽해도 좋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변신 대 합체, 신화 속 괴물의 과학적 재발견[변신] 두 발로 걸은 염소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의 문제지. 마치 수도꼭지처럼, 너무 조이거나 너무 열면 다른
형태
가 나오는 거야.” [몸이 셋인 ‘삼신국’의 백성 모습(위 왼쪽). 인도나 불교 신화에서도 많이 보던 모습이다. 오른쪽 위는 머리가 둘인 새 ‘만만’, 오른쪽 아래는 눈이 하나인 일목국의 백성. 맨 ... ...
다이아몬드 만큼 단단한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의 구형 탄소구조체다.연구팀이 발견한 새로운 구조체는 풀러렌을 고압으로 찌그러트린
형태
다. 전체적으로 모양의 규칙성이 없지만 풀러렌을 이루던 오각형과 육각형 격자는 그대로 남아 규칙성을 유지한다. 이 구조체를 만들려면 용액 상태의 풀러렌에 약 35GPa(기가파스칼)의 정밀한 압력을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존 공정에 활성탄만 추가해도 효과가 크다. 모든 정수처리장은 예전부터 가는 가루
형태
의 분말활성탄을 비축하고 있다 이번 녹조현상 등 돌발 사태 때 사용한다. 독성은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정수처리공정을 무조건 불신할 필요는 없다. 독성 위험은 정수처리장의 능력을 넘어서는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두께를 준 육면체
형태
로 상황을 시뮬레이션했다. 사람을 가장 단순하게 나타낸
형태
인 셈이다. 보치 교수는 “두께가 생기면 어떤 속도로 가던 비를 전혀 안 맞을 수는 없다”며 “다만 두께가 얇으면 여전히 비를 가장 적게 맞는 이동 속도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두께가 어느 선 이상 ... ...
우유니의 은빛 거울이 스마트폰이 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구를 시작했다. 리튬의 회수율을 높이고 추출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염수를 분말
형태
로 변화시켜 리튬을 농축시키는 기술을 적용했고, 그 결과 기존공정보다 리튬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86.9%). 또 추출 시간도 단축하고 순도를 높였으며(99.6%) 2건의 지적재산권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