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물체의
형태
를 유추하는 관찰법이다. 프랭클린은 DNA가 만드는 회절무늬를 분석해 DNA의
형태
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유추’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프랭클린은 X선을 이용해 회절무늬를 본 것이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실제로 본 것은 아니다. 그러나 X선으로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직접 ... ...
맥가이버는 영재학교 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것이 미래 인재들에게 필요한 덕목이 돼가고 있다는 의미다. 창의성 문항 중에는 다양한
형태
의 실험 설계 등 탐구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능력 역시 중요한 창의성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 ...
퀘이사 탄생의 비밀은 ‘이웃 은하 도둑질’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퀘이사는 가시광선과 전파 등 대단히 강력한 전자기파를 내뿜는 은하핵이다. 그동안 퀘이사의 강력한 에너지의 근원이 은하가 충돌하면서 ‘급격히’ 상대 ... 퀘이사가 이웃 은하의 물질을 천천히 끌어들이며 성장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퀘이사는 이런
형태
로 성장한다고 결론내렸다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한다는 것. 즉 입력되는 정보는 요리의 재료 가운데 일부일 뿐이다.[자기 투형의 네가지
형태
]인류는 자신의 관점을 다른 시간, 다른 사람의 입장으로 옮길 수 있는 능력인 자기투영이 발달했기 때문에 문화를 꽃피울 수 있었다. 주방에서 요리를 준비하는 아내를 바라보는 남편의 자기투영 관점이다.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눈에 보이는 것만 생체모방 공학의 영역이 아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 조직의
형태
와 기능을 그대로 본따고, 생리적 기능까지 갖추는 연구가 최근 생체모방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소위 ‘핫(hot)’한 분야로 꼽힌다. 허 교수의 허파꽈리 조직 모사 칩은 신약의 반응을 테스트하고 부작용을 없애는 ... ...
마이클 펠프스 팔 동작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를 생체기계공학지 최신호에 발표했다.그 결과 스컬링
형태
영법이 양력을 발생시켜 몸이 앞으로 빨리 나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불완전한 영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을 이끈 미탈 교수는 “스컬링 동작을 과하게 하면 양력과 물을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어디까지가 정상이고 어디까지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일은 쉽지 않다. 강박증의 특이한
형태
중 하나인 저장(hoarding)은 쓸모가 없거나 가치가 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수집하는 증상이다. ‘물건을 버리거나 잃게 될까’ 하는 걱정이 대표적인 저장강박사고이며, 물건을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촘촘한 보라색 섬모가 텅스텐 산화물로 만든 나노와이어다. 연잎의 표면과 같은
형태
로 만들었다. 가운데 노란색으로 이뤄진 것은 나노와이어에 금을 증착시킨 것이다. 왼쪽 아래와 가운데 보이는 까만 막대가 전극이다. 이들로 회로를 만들어 전류를 흘렸다 끊었다 하는(스위칭) 저항메모리 반도체 ... ...
촉감만으로 물질을 구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손가락 안쪽에 설치된 청음기로 한다. 로봇 손가락이 물질을 스치면 피부가 다양한
형태
로 진동하는데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베이즈 정리는 유사한 물질로 습득한 이전 경험을 토대로 확률적으로 어떤 물질인지 판단하는 알고리즘에 활용됐다. 연구를 주도한 제너럴 룁 교수는 “옷가게와 문구점,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설탕의
형태
로 있다. 여기서 추출해 결정화한 설탕이 보급되면서 설탕이 주된 당의
형태
가 된 것이다.그런데 지난 수십 년 사이 이런 트렌드에 변화가 생겼다. 옥수수 녹말을 효소로 처리해 포도당으로 분해한 옥수수 시럽을 만들고 여기에또 다른 효소(자일로오스 이소메라아제)를 처리해 포도당을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