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정했지만, 직접 축구공을 제작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다 1970 멕시코 월드컵에서 처음 공인구를 선보였지요. 그 공이 바로 ‘텔스타’입니다. 텔스타는 우리가 흔히 축구공 하면 떠올리는 그 공입니다. 오각형 패널 12개와 육각형 패널 20개를 깎은 정이십면체 모양으로 꿰매 만들었지요. 지금이야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옆 동네 스위스에서 태어난 레온하르트 오일러다. 오일러는 함수의 기호 f (x)를 처음으로 사용한 수학자로, 본인의 이름을 딴 ‘오일러 정리’와 ‘오일러 수’를 만들어 명실상부한 수학계 유명인사로 거듭난다. 오일러는 F5를 소인수분해하며 페르마의 추측을 한 방에 무너뜨린다. F5는 식에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의사결정 숲 모형’이 쓰입니다. 리오 브레이맨 미국 UC 버클리대학교 통계학과 교수가 처음 개발한 모형이지요. 수많은 나무가 모여 숲을 이루듯 단순한 의사결정나무 모형 여러 개로 만드는 알고리즘입니다. 의사결정나무 모형은 일상의 모든 의사결정을 나무 가지처럼 그린 뒤 어떤 기준에 따라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콰트레인먼트는 1984년 미국의 소프트웨어공학자 숀 퍼켓이 ‘계산!’이라는 잡지에 처음 소개하면서 유명해졌고, 1988년에 미국 데이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톰 간트너가 수학적으로 분석해 해법을 찾아냈어요. 콰트레인먼트를 즐기려면 우선 16칸 보드 두 개가 필요합니다. 두 보드 중 하나를 ... ...
- [과학뉴스]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 구조다. 최근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팀이 베타시트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처음으로 밝혔다. 널 알리아 옥타비아니 이화학연구소 지속가능한자원과학센터(CSRS) 연구원팀은 ‘황금원형그물 거미(Nephila clavipes)’를 이용해 거미줄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만든 뒤,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로 한국이었다. 전 세계 38개 연구팀, 항아리곰팡이 계보 추적1993년 호주에서 처음 발견된 항아리곰팡이는 양서류의 피부 조직인 케라틴을 먹이 삼아 기생하는 병균이다.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되면 양서류는 피부 호흡을 하지 못해 질식사하게 된다. 치사율이 90~100%에 이르러 25년간 호주와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몸통의 뇌’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할을 한다. 그중에서도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에 처음 등장했을 만큼 꽤 오랜 세월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대화 중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한 사람의 관심의 정도와 행방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근거라는 것이다.더 자세하게는 배꼽의 접근은 관심을, 회피는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비슷하게 게임 세계를 만들어 식생을 적절하게 분포시켰다”며 “이를 통해 유저들이 처음 가보는 곳에서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가령 듀랑고에서는 갈대를 베려면 물가로, 산딸기를 따려면 작은 나무와 덤불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가면 된다.그는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상수를 NA=6.022 140 76×1023 mol-1이라고 발표했다. 여기서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처음에 실리콘의 동위원소 농축작업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러시아에서 맡았다는 점이다.러시아는 핵폭탄의 주원료인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고도의 원심분리 기술을 갖고 있었다. 이것으로 실리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 공부하라고 괴롭히기 위해 존재한다고만 생각했던 과거의 학자들에게 난생 처음 고마움을 느꼈다. 책 ‘뷰티풀 퀘스천’ 덕분이다. 저자는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랭크 윌첵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석좌교수다. 윌첵 교수는 ‘이 세계는 아름다움을 간직한 하나의 예술 작품’이라는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