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몸통의 뇌’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할을 한다. 그중에서도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에 처음 등장했을 만큼 꽤 오랜 세월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대화 중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한 사람의 관심의 정도와 행방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근거라는 것이다.더 자세하게는 배꼽의 접근은 관심을, 회피는 ...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발견하며 유명세를 탄 유럽의 ‘강입자가속기(LHC)’는 1984년 처음 구상을 시작한 이후 1998년에야 첫 삽을 떴다. 완공까지는 10년이 걸렸다. 그 사이 여러 번 중단 위험이 있었다. 6월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무산됐지만, 개헌을 통해 과학계가 담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쿼크 등 소립자들이 튀어나오는데, 2012년 이런 방식으로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처음 발견했다. 현재는 우주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미지의 물질인 암흑물질의 흔적을 찾고 있다. 반면 경주 양성자가 속기는 길이가 75m인 선형가 속기다. 또, 양성자와 양성자를 충돌시키는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난제를 풀어 수학계 눈도장을 확실히 찍은 수학자입니다. 하지만 마르케스 교수가 처음부터 수학을 공부했던 건 아닙니다. 대학교 학부 전공은 토목공학인데, 대학 때 수학에 매료돼 수학자로 진로를 바꿨습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지만 수학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몰라서 수학자를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말이 있을 만큼, 페르마는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로 불려요. 미분이라는 개념을 거의 처음 쓴 사람도 페르마지요. 프랑스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확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이걸 확률론의 효시로 보고 있어요. 이렇게 대단한 페르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 달라요.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도 서로 다른 지문을 갖고 있답니다. 이 사실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영국의 의사인 ‘헨리 폴즈’예요. 그는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지문을 유심히 들여다 보다가 사람들의 지문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이런 지문의 특징을 이용하면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팀은 장미의 꽃잎 색깔과 향기의 상관관계도 처음 알아냈다. 장미는 꽃잎의 색깔이 짙고 화려할수록 향기가 떨어지고, 반대로 향기가 좋을수록 색깔이 옅어졌다. ‘SPL9’유전자가 장미 꽃잎 색을 결정하는 색소인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의 합성을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뿌리는 일본”이라고 말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실제로 한국 딸기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처음 들여왔다. 하지만 로열티 지급 부담이 늘면서 2005년부터 국산 품종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5% 수준이던 국산딸기 점유율이 현재 93.5%까지 늘었다. 일본 국가대표 컬링팀이 먹은 딸기는 2월에 주로 재배되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내 악천후 기상재현 연구실험시설이 문을 연다. 이 곳을 5월 14일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방문했다. 38선과의 직선거리가 약 13km, 최접경 지역에 위치한 탓인지 한랭한 기후가 북한 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악천후 기상재현 연구실험시설은 길이 650m, 4차선 도로로 설계됐다. 그중 30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관계를 규명했다. 그는 ‘전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일렉트리쿠스(electricus)’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재밌게도 이 단어는 그리스어 ‘호박(elektron)’에서 유래했다. 구름 속에서 생기는 전기, 번개를 실험하다전기에 대한 연구는 18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미국에서 ‘건국의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