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게는 총 21kg이다. 이름은 ‘스누볼(SNUBall)’이라고 붙였다. 과학기구로는 국내에서는 처음 띄우는 것이라 더욱 긴장됐다. 발사팀이 공장 벽을 바람막이 삼아 발사 준비를 시작했다. 갑작스런 돌풍으로 벌룬이 찢어지진 않을까 손놀림이 조심스러웠다. 바다 위로 떨어질 페이로드는 튼튼하게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내 악천후 기상재현 연구실험시설이 문을 연다. 이 곳을 5월 14일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방문했다. 38선과의 직선거리가 약 13km, 최접경 지역에 위치한 탓인지 한랭한 기후가 북한 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악천후 기상재현 연구실험시설은 길이 650m, 4차선 도로로 설계됐다. 그중 30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치료에 활용된 역사는 꽤 길다. 일본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NIRS)가 처음 임상연구를 시작해 1994년 세계 최초로 의료용 중입자가속기(HIMAC)를 개발했다. 의료용 중입자가속기는 탄소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장치다. 이후 가속된 입자를 몸속 암세포에 충돌시켜 종양을 사멸한다. 이때 초당 1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리고 빈 종이 하나를 꺼냈다. 김 박사는 거기에 1, 2, 3 이라고 숫자 세 개를 썼다. 다시 처음부터 차분하게 정리해 보고 싶었다.1. 자료가 잘못된 것이면 핵미사일 공격으로 소행성을 막지 못한다. 2 잘못 되었는지 검증해 보는 계산을 해야 하는데 계산 결과 중에서 알파 값이 1.0 이상으로 나오면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난제를 풀어 수학계 눈도장을 확실히 찍은 수학자입니다. 하지만 마르케스 교수가 처음부터 수학을 공부했던 건 아닙니다. 대학교 학부 전공은 토목공학인데, 대학 때 수학에 매료돼 수학자로 진로를 바꿨습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지만 수학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몰라서 수학자를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말이 있을 만큼, 페르마는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로 불려요. 미분이라는 개념을 거의 처음 쓴 사람도 페르마지요. 프랑스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확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이걸 확률론의 효시로 보고 있어요. 이렇게 대단한 페르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요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소장은 2003년부터 15년째 애기뿔소똥구리의 수를 늘리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처음에는 다른 방목장에서 구한 똥을 얼려서 보관한 다음, 녹여서 애기뿔소똥구리에게 주었어요. 하지만 얼렸다가 녹인 똥은 수분이 너무 많아서 애기뿔소똥구리들이 좋아하지 않았지요. 그래서 넓은 땅에서 소를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덕분에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세상에 알려지게 됩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처음 등장했을 때 반응은 다양했습니다. 중요성을 단번에 알아본 대가도 있었던 반면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거나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던 대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와일즈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을 계기로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책입니다.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있던 미적분학을 처음으로 통합한 입문서로, 미적분학뿐만 아니라 대수학, 기하학도 다루고 있습니다. 1권에서는 주로 대수학 기본개념을, 2권에서는 미적분학을 설명합니다. ‘아녜시의 마녀’로 유명한 곡선은 1권 381쪽에 실려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뚤래뚤래 오너라 ♬ 손등에 모래를 잔뜩 쌓아 올리면서 부르는 동요입니다. 언제, 누가 처음 만들었는지 알 수 없지만 오래전부터 어린이 사이에서 입으로 이어져 내려왔지요. 이렇게 유래가 명확하지 않고, 정확한 제목이 없는 동요를 전래동요라고 하는데, 시기상으로는 1920년대 이전부터 부르던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