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작가 되기!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될 거예요. 혹시 지금까지 소개한 팁을 보니 사진에 흥미가 생겼나요?
처음
에 소개한 제7회 국제 모바일 사진대회 수상작 같은 사진을 찍고 싶나요? 그렇다면 사진에 대해 스스로 고민하고 연구해 보세요. 사진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언젠가 사진을 ‘어떻게’ 찍을지보다 사진에 ‘무엇을’ 담을지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둘인데 출시한 게임이 하나도 없어서요. 내 이름으로 내보자는 생각으로 만들었어요.
처음
출시한 게 ‘바나냥’이라는 게임인데 다운로드 수가 40만으로 제법 돼요. 최근엔 VR게임도 만들어서 3월이나 4월 중에 출시할 예정이에요. VR웹툰은 왜 만들었나요?기존 VR웹툰은 360°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식으로 5만 가지 요리에 이용된 재료들 간의 관계를 계량화해, 연결망을 구성했다.
처음
먹어본 한국 음식을 맛있게 먹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김치의 마늘 냄새를 맡는 것조차 힘들어 합니다. 매스토랑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입맛을 가진 사람을 위한 음식을 제공합니다. 안용열 미국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친구들에게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영국의 달리기 선수 로저 배니스터는 1954년
처음
으로 1마일, 즉 1.6km를 4분 안에 뛰었어요. 그 전엔 넘을 수 없는 기록이라 ‘마의 4분’이라 불리던 벽을 깬 거예요. 그러자 뒤이어 다른 선수들이 줄줄이 그 기록을 깼지요. 누군가 그 기록을 깨니까 절대 깰 수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8세기 프랑스의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산소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인 ‘oxygen’을
처음
만들었어요. 당시 그는 산소가 신맛을 내는 산성 물질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그리스어로 신맛을 뜻하는 ‘oxys’와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genes’을 결합해 ‘신맛을 만드는 것’이라는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우리나라는 40년 전 남극에 첫발을 디뎠어요. 남북수산주식회사의 남북호가 남극해에서
처음
으로 새우를 닮은 동물플랑크톤인 크릴을 잡고, 해양 곳곳을 조사했지요. 이후 1985년 11월 한국해양소년단연맹이 조직한 ‘한국남극관측탐험단’이 우리나라 최초로 남극 땅을 밟는 데 성공했답니다.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를 책정한다면 대체수요를 자극하기 힘들 것이다. 결국 관건은 자율주행자동차의 가격이
처음
에는 비싸더라도 신속하게 떨어지는, 다시 말해 단위 당 생산 비용을 가파르게 떨어뜨릴 수 있는 능력이다. 학습곡선 가파를수록 수익성 높아이런 면에서 볼 때, 삼성전자는 대체상품 등장에 따른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이 연구를 통해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일부 암의 발생 위험이 덩달아 증가한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됐다. 유전자 389개 대부분이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등 성호르몬에 민감한 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됐다. 흥미로운 결과도 나왔다. 동일한 유전자라도 부모 중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비하인드 스토리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둘째 날은 시간이 조금 남았어요. 국제대회를 또 언제 나올지 알 수 없잖아요. 이 대회가
처음
이자 마지막일 수도 있는데 세 문제를 다 푼 거예요. 일단 답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 문제를 다 풀었다는 게 뿌듯해서 세리머니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문제를 풀라고 준 종이를 접었지요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바꿀 수는 없다는 큰 문제도 있었습니다. 그러던 2012년 골라인 테크놀로지라는 기술이
처음
시범 도입됩니다. 이름 그대로 골대 사이의 선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공이 들어갔는지 안 들어갔는지 확인하는 기술입니다. 축구 규칙상 골로 인정받기 위해선 공의 모든 부분이 골라인을 넘어서야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