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아리 탐방] 대전제일고 M.S.G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문제를 푸는 기술이 다양해 졌어요. - 3학년 장정아 # 말하는 기술도 부쩍 늘었어요.
처음
에는 판서도 잘 못했고, 기호 하나 말하는 것도 어려웠는데, 매주 친구들 앞에서 문제와 제 풀이를 설명하다 보니 핵심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법을 알겠더라고요. 수리면접과 수리논술 대비를 체계적으로 하고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그 속도를 다루기 위해 왼쪽 다리가 버텨줘야 하죠. 잘 버틸수록 빨리 달릴 수 있어요.
처음
엔 약간 위험하지만, 너무 재밌어서 무서운 줄도 모르겠더라고요. 이번 패럴림픽에서 바라는 게 있나요?우리가 메달을 따서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선입견이 깨지길 바라고 있어요. 어린 장애인 친구들이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대회. 정현은 16강전에서 세계 랭킹 1위 노바크 조코비치를 꺾으며 한국 선수로는 사상
처음
으로 메이저 대회 8강 진출 기록을 세웠다. 그는 내친 김에 4강 진출까지 이뤄내며 ‘테니스의 황제’ 로저 페더러와 맞붙었지만, 발바닥 부상으로 아쉽게 기권하며 4강에서 멈췄다. 정현은 한국인 역대 최고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시절 원자폭탄을 만드는 ‘비밀스러운 일’에 참여를 권유받았을 때 파인만은
처음
이렇게 반응했다. 하지만 히틀러 등 국제 정세는 이내 파인만이 로스앨러모스 프로젝트, 즉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결심하게 만들었다. 이 책을 읽기로 결심한 독자라면 적어도 책 중반에 나오는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고층대기 바람과 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있는 광학 관측기기)를 설치하며 열권 관측을
처음
시도했다. 그리고 1990년대 말 적외선 간섭계를 설치해 중간권 상부와 열권 하부의 온도를 관측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적외선 간섭계는 2002년 대기광 분광계로 교체돼 현재까지 극지 고층대기의 ... ...
Part 3.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함께할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에 새로운 반려견이 소개됐어요. 바로 애완견 로봇 ‘아이보(aibo)’예요. 지난 1999년에
처음
개발된 아이보는 세계 최초의 애완견 로봇이에요. 2006년 단종됐다가 11년 만인 지금 부활한 거지요. 새로운 아이보는 인공지능을 탑재해 주인을 알아보고 반응해요. 이를 통해 주인의 성격이나 집안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내용을 ‘주서관견’이라는 책에 담았습니다. 서양의 기하 증명법을 이 책에서
처음
으로 소개했지요. 중국에서 들여온 산학서 중에서 어려운 개념만 골라 우리말로 좀 더 쉽게 해설한 책인 ‘산학원본’ 역시 지방 양반 관료인 박율이 썼습니다. 조태구야 영의정까지 지냈으니 원하면 조선에 ... ...
[과학뉴스]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밀로 미국 로렌스리버모어연구소 연구원팀은 초이온 물 얼음의 존재 가능성을 실험으로
처음
확인했다. 연구팀은 대기압의 2만5000배가 넘는 초고압에서 물을 압착시킨 얼음에 고출력 레이저 펄스를 쪼여 수천 도의 고온에서 초이온 물 얼음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 ...
[이달의 사물] 지워지는 볼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온도가 내려가면서 류코 잉크와 현색제가 일부 재결합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처음
처럼 진하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계약서나 일기처럼 중요한 문서는 지워지지 않는 평범한 볼펜으로 작성하는 게 좋겠습니다 ... ...
[과학뉴스] 체외 인간 난자 배양 세계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연구해 기술을 향상시킬 계획”이라며 “이번 연구는 인간 난자의 체외 배양 가능성을
처음
보여준 만큼 새로운 불임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 인간 생식’ 1월 30일자에 실렸다. doi:10.1093/molehr/gay00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