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작가 되기!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될 거예요. 혹시 지금까지 소개한 팁을 보니 사진에 흥미가 생겼나요?
처음
에 소개한 제7회 국제 모바일 사진대회 수상작 같은 사진을 찍고 싶나요? 그렇다면 사진에 대해 스스로 고민하고 연구해 보세요. 사진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언젠가 사진을 ‘어떻게’ 찍을지보다 사진에 ‘무엇을’ 담을지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바꿀 수는 없다는 큰 문제도 있었습니다. 그러던 2012년 골라인 테크놀로지라는 기술이
처음
시범 도입됩니다. 이름 그대로 골대 사이의 선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공이 들어갔는지 안 들어갔는지 확인하는 기술입니다. 축구 규칙상 골로 인정받기 위해선 공의 모든 부분이 골라인을 넘어서야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도 타고나는 걸까. 최근 유전자가 인간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최초로 나왔다. 사이몬 바론-코 ... “이번 연구에서 자폐증 환자가 유전적으로 공감 능력이 결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으로 밝혀냈다”고 말했다. doi:10.1038/s41398-017-0082-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Virtual Love)’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받아 작곡 AI인 ‘쥬크덱’을 이용해 ‘과학동아 송’의 멜로디를 과학동아 3월호에
처음
공개했다. 임 양은 이 멜로디를 들은 뒤 “사람의 뇌에 자리 잡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떠올렸다”며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억을 뉴런을 통해 측두엽과 전두엽으로 전달되는 뇌 과학적인 과정으로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면과 모서리의 가운데를 잇는 선으로 가정하고 인공위성의 궤도도 계산했다. 인공위성이
처음
궤도에 안착한 높이가 지구 중심에서 지표면까지 거리의 3배라면, 인공위성이 움직이는 속도는 약 3.63km/s였고, 지구를 한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4시간 48분이었다. 하지만 꼭짓점을 지날 때마다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약 9억 원)가 든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DNA 시퀀싱(염기서열 분석) 기술도
처음
에는 100억 원을 웃돌며 비용 문제로 경쟁력이 없다고 평가 받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비용이 점점 낮아져 2012년에는 1000만 원대로 떨어졌다”며 “DNA 합성 역시 기술이 좀 더 성숙하면 충분히 가격을 낮출 수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에 대해 더 개방적인 사고를 가진 것으로도 조사됐다.
처음
만난 사람과의 성관계를 의미하는 ‘원나잇 스탠드’에 동의하는 경향이 높았다. 심 교수는 “음란물을 일찍 접한 학생일수록 정부의 음란물 규제 정책 강화에 대해서도 불만이 많았다”며 “이는 성별과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진로 희망과의 연계성을 보여줄 수 있을지 ‘방향성’을 고려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처음
부터 1등을 목표로 부담을 키우기보다는 1학년 때 장려상을 수상했다면 2, 3학년에 진학해서는 점차 우수상,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식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대회가 ... ...
Part 1. 평창 동계 올림픽, 과학 올림픽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건 과학기술이 발전한 덕분이에요. 텔레비전 기술이 발전하면서 1936년 하계 올림픽이
처음
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됐거든요. 이를 통해 전세계 사람들이 방 안에서도 올림픽을 즐길 수 있게 됐지요. 이후에도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에서는 늘 더 많은 사람들이 올림픽을 즐길 수 있도록 새로운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파블로프의 개예요. 실험은 간단해요.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고, 먹이를 주는 거예요.
처음
엔 종소리에 별 반응이 없고 먹이를 봤을 때만 본능적으로 침을 흘려요. 하지만 이 과정을 반복하면 나중에는 먹이 없이 종소리만 들려줘도 개가 침을 흘리게 된답니다. 즉, 개는 종소리가 들리면 먹이를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