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두고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이를 토대로 주기율표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주기율표가 처음부터 지금처럼 체계적인 형태를 갖춘 건 아니었다.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가 원소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는 주기율표가 완성됐다. 주기율표의 역사주기율표의 역사는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993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이 생긴 이래 수학과 교수가 원장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년에 부임하고 보니 화학이나 생물 쪽 교육의 비중이 컸습니다. 아무래도 초중등 학생이 많은 영재교육이다 보니까 눈에 보이는 활동을 원하는 경향이 크거든요. 반면, 수학은 앉아서 공부해야 하니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3차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을 발견하고, 제곱하면 음수가 되는 수인 허수 개념을 처음 도입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2. QUAERITE LOGICAM FENESTRAM IN BIBLIOTHECA IOANNIS RYLANDS. 존 라이랜즈 도서관에서 논리 창을 찾으세요. 알파벳을 순서대로 16 글자씩 뒤로 밀어서 쓴 카이사르 암호입니다. 즉 A는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iPS세포는 피부세포와 같이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가 되기 이전으로 돌려놓은 세포를 말한다.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만능줄기세포라고 부른다. 연구팀은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트레칭을 한 뒤 찬물에 들어갔을 때 가장 피로 회복이 빨랐다. 민 선임연구위원은 “처음에는 피로 회복에 큰 신경을 쓰지 않던 선수들이 데이터를 보고 난 뒤부터는 매일 훈련을 마치고 차가운 물이 담긴 검은색 고무 대야에 옹기종기 들어가 앉을 정도로 피로 회복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냉동인간 기술의 돌파구가 제시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한국에 들어온 냉동인간 기술이 처음 접목될 분야는 이식용 냉동 장기다. 신장, 폐, 심장 등의 고형 장기가 체외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4~8시간 정도다. 이식을 받아야 할 환자들이 있어도 적시에 이식하지 못해 버려지는 장기만 60%에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혼합 효과와 같은 매우 복잡한 난류 혼합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현상은 19세기에 처음 발견됐지만 오랫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는 스톤 교수팀과 함께 와인과 같은 알코올이 물과 만날 때 섞이는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수행해 ‘네이처 피직스’ 에 2017년 7월 발표했다. doi:10.1038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비웃기 위해 쓴 말이었답니다. 빅뱅이론은 미국의 물리학자 ‘조지 가모브’가 1948년 처음 제안한 이론이에요. 하지만 당시 과학자들은 우주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는 ‘정상우주론’을 믿었어요. 그래서 우주가 특이한 한 점에서 대폭발을 하며 탄생했다는 것을 믿지 못했지요. 그 중 대표적인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리하는 수준일 뿐 깊이 있는 기사를 다룰 수 없다”는 이유로 로봇 기자를 무시했다. 처음엔 스포츠, 증권, 날씨 등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사만 쓰더니 요즘엔 기사의 90%를 로봇이 작성한다. 기사 하나를 작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초. 양으로 덤벼오는 로봇 기자 앞에서 질만으로 승부하기엔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방사광가속기 ‘유러피안 엑스펠 (E-XFEL·European X-ray Free-Electron Laser)’을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과학동아가 찾았다. E-XFEL은 미국, 일본, 한국에 이어 세계 4번째로 가동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다. 가속관을 직선으로 3.4km 연결해 세계 최대 규모다. 2017년 11월, 독일 최대 항구 도시 함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