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국을 선택한 것은 중국 젊은 과학자들의 현량자고 정신에 반했기 때문이다. 업무 차 처음 중국을 방문한 건 2011년이었다.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비휘발성메모리기술 심포지엄(NVTMS)’에 초청돼 강연을 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필자에게 중국의 이미지는 땅이 넓고 인구가 많은 나라, 싼 제품을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방사광가속기 ‘유러피안 엑스펠 (E-XFEL·European X-ray Free-Electron Laser)’을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과학동아가 찾았다. E-XFEL은 미국, 일본, 한국에 이어 세계 4번째로 가동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다. 가속관을 직선으로 3.4km 연결해 세계 최대 규모다. 2017년 11월, 독일 최대 항구 도시 함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노래를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소녀가 심장을 이식 받은 뒤, 이 노래의 가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기억해 불렀다는 것입니다. 그녀는 “나는 이전에는 어떤 악기도 연주하지 못했지만, 이식 이후 음악을 사랑하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죠. 논문에는 이런 신기한 사례 10가지가 소개돼 있습니다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빛으로 이온 채널의 활성을 조절해 결과적으로 신호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보여준 연구입니다. 뇌를 구성하는 세포 단위인 뉴런의 세포막에도 이온채널이 존재합니다. 만약 뉴런의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빛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아주 적은 노력으로 뇌의 기능을 속속들이 알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실 ‘똥딱정벌레’ 덕후다. 이 때문에 ‘곤충 사나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열살 때 처음 똥딱정벌레를 만난 이후 현재까지 똥이 있는 곳을 찾아 다니고 있다. 식물학자인 아버지가 하수처리장에서 연구를 진행한 덕에 저자에게 하수처리장은 유년 시절의 놀이터였다. 그에게 대변은 ‘생태를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최대 50배 가까이 배터리 수명이 늘었다”고 말했다. 최 교수가 처음부터 분자기계를 쓴 건 아니었다. 시작은 실리콘의 분자 구조를 이용해 장력을 분산시키는 연구였다. 결과도 좋았다. 그 연구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도 뽑혔다. 그랬던 그가 어떻게 기존 ... ...
- 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기록을 조작할 수도 있죠. 2014년, 아프가니스탄에 사는 여학생 패리사 아흐마디는 난생 처음 자기가 번 돈을 이용해 노트북을 샀어요. 현금이나 통장을 이용하지 않고 가상의 지갑과 돈을 이용했지요. 이 화폐는 장부를 적는 은행이 필요 없고 이름이나 성별을 공개하지 않아도 거래를 할 수 있어서 ... ...
-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궁금해졌습니다. 이유는 야코프 베르누이라는 수학자 때문이었죠. 확률의 뜻을 처음 정의한 수학자 야코프 베르누이는 ‘추측술’이라는 책에서 ‘각각의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같을 때, 그것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의 비’가 확률이라고 말했습니다. 동전을 ...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그런데 최근 미국 하와이 천문대 연구팀은 태양계 밖에서 온 ‘성간 소행성’을 처음으로 관측했어요. 정식명칭은 ‘1I/2017 U1’으로, ‘아주 먼 곳에서 온 첫 메신저’를 뜻하는 ‘오우무아무아’라는 하와이어가 별칭으로 붙었답니다. 연구팀은 궤도를 분석해서 이 소행성이 태양계 밖에서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이끌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은 “사실 지구사랑탐사대를 처음 시작할 때는 이렇게 규모가 커질 줄은 몰랐다”며, “지구사랑탐사대가 5년이나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매년 탐사를 열심히 해 준 대원들 덕분”이라고 말했어요. 우리나라에 사는 매미 1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