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그런데 최근 미국 하와이 천문대 연구팀은 태양계 밖에서 온 ‘성간 소행성’을 처음으로 관측했어요. 정식명칭은 ‘1I/2017 U1’으로, ‘아주 먼 곳에서 온 첫 메신저’를 뜻하는 ‘오우무아무아’라는 하와이어가 별칭으로 붙었답니다. 연구팀은 궤도를 분석해서 이 소행성이 태양계 밖에서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바나나 ‘무사 아쿠미나타(Musa acuminata)’예요. 기원전 7000여 년 전 파푸아뉴기니에서 처음으로 재배됐지요. 바나나 하나의 길이가 3~9cm 정도이고, 15~62개의 씨앗을 갖고 있답니다. 무사 아쿠미나타를 더 크고, 달게 개량한 것이 바로 우리가 먹는 ‘캐번디시’예요. 전세계 4억 명 정도가 캐번디시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완구 업체인 토이트론이 주최한 어린이 코딩 캠프가 열렸어요. 이날 코딩펫을 처음 접한 66명의 초등학생들은 우선 코딩펫의 작동법을 익혔어요. 그러자 두 가지 미션이 주어졌지요. 먼저 코딩펫의 여러 모드 중에 ‘카드 코딩모드’를 활용해서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36개의 칸이 있는 지도에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모양을 본뜬 한자로, 머리털과 얼굴의 모습을 담고 있어요. 그리고 사람의 머리에서 ‘처음’, ‘근거’란 뜻으로 이어졌지요. 즉, ‘길 도(道)’는 ‘사람을 목적지로 이끄는 길’ 또는 ‘사람이 지킬 도리’라는 뜻이랍니다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모형이라 먹을 수 없어서 아쉬웠어요. 헬로키티가 초대해 준 덕분에 친구와 남산도 처음 가 보고, ‘쎈토이 뮤지엄’과 남산타워 전망대에서도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폴란드 친구는 한국 방문 중 헬로키티 생일에 참가한 것이 가장 재미있었다고 해요. 생일파티에 초대해 준 헬로키티에게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하고, 앱(App.)을 개발한 대원은 자리를 옮겨다니며 직접 시연하기도 했답니다. 대원들은 처음에 구상했던 아이디어와 제작 결과물이 진행 과정에서 어떻게 달라졌는지 설명했어요. 메이커 프로젝트는 끝났지만 더 해 보고 싶은 점을 덧붙이는 등, 그 열기가 대단했지요. 대원들이 프로젝트 과정과 ...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현상이 일어나 건물이 기울거나 도로가 무너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지요. 경주 지진은 처음 지진이 발생한 후 일주일 뒤까지 강한 여진이 이어졌어요. 11월 20일 오전 9시까지 발생한 여진은 총 58차례예요. 국토교통부는 여진으로 인한 추가 피해가 없도록 긴급 안전 점검을 할 계획이랍니다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계속 빛을 내게 하려면 때마다 먹이를 주고 노폐물을 제거해야 하거든요. 지난 12월에 처음 시연했을 때는 3일 밖에 지속되지 못했어요. 현재 조명의 지속시간을 늘리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뤄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막아라!Part 1. 빛 공해에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년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와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진이 학생교육 프로젝트를 하면서 처음 만들었지요. 학생들이 인공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 만들어 보는 실습이 필요했지만, 실제 크기로 만들기엔 비용이 너무 비쌌어요. 그래서 두 대학교 연구진들은 가로, 세로, 높이가 10cm인 초소형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수 있는 쓰레기만 2만여 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답니다. 특히 큐브샛은 지난 2003년 처음 발사된 이후, 더 자주 더 많이 발사되고 있어요. 최영준 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박사는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큐브샛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우주로 나가는 큐브샛의 수는 더 늘어날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