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빨간색 쪽으로 이동하는 ‘적색편이’ 현상을 관측했다. 적색편이 현상은 멀어지는
물체
에서 보내는 빛이나 소리의 파장은 길어진다는 ‘도플러 효과’에 의한 것이다. 이로부터 은하들은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에 비례해 멀어지는 속도가 늘어남을 밝혀냈다. 이러한 사실은 태초에 우주가 원래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나오는 방향이다.회전하는
물체
는 회전 중심에 대해 각운동량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물체
가 운동을 하기 때문에 가지는 각운동량을 ‘궤도 각운동량’이라고 한다. 따라서 입자가 정지해있을 때 궤도 각운동량은 0이다. 그렇다면 입자가 정지해있을 때 각운동량은 0일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특수잉크다.잉크는 도료와 안료 성분이 섞인 액체 성분으로 종이나 색을 입히려고 하는
물체
에서 잘 말라야 한다. 즉 잉크가 쓸모있기 위해선 종이나 신문에 사용됐을 때 빨리 말라야 한다. 17세기에 영국에서 최초로 색이 있는 잉크를 제조했다. 그러나 19세기가 돼서야 화학적으로 잉크를 빠르게 ...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초대칭성과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을 합친 ‘초중력이론’은 ‘거품’과 같은
물체
가 11차원의 시공간에 떠다니고 있다고 본다. 이 이론에서는 5차원의 거품이 마치 소시지의 껍질처럼 공간을 감싸고 있다가 안의 공간이 줄어들어 없어지면 끈처럼 보이게 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다시 ... ...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빛을 쪼여
물체
표면에 줄무늬의 그림자를 만들고 이 그림자를 다시 줄무늬를 통해 보면
물체
의 편평도가 등고선으로 나타난다.줄무늬 옷을 입은 사람의 몸에 비슷한 주기의 줄무늬가 나타나게 OHP로 비추면 등고선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조각작품에 줄무늬판을 대고 OHP를 조명처럼 비추고 ... ...
플라즈마응용표면처리 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원리를 적용해서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냈다.한교수는 "이 기술이 단순히 낮은 온도에서
물체
를 코팅할 수 있다는 것 외에도 많은 장점을 가진다"고 말한다.첫째로는 기존의 표면처리보다 내마모성,내열성,수명,그리고 제품생산성 측면에서 무려 최고 10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기존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할지라도 멀리 있는
물체
가 커보이는 착시가 여기에도 적용된다. 망원경으로 지상의
물체
를 볼 때에도 동일하게 느껴진다.필자는 운좋게도 경관이 좋은 방을 연구실로 배정받았다. 창너머로는 멀리 떨어진 전파천문대 건물이 보이고 그곳으로 가는 굽어진 도로도 보인다. 그 도로 한곳에는 지름 1m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일반 망원경이 수십억 광년을 관찰할 수 있는데 비해 스바루는 1백50억 광년 떨어진
물체
를 볼 수 있다.때문에 스바루의 CCD가 받는 데이터를 이용해 천문학적 모델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1초에 1천억번을 계산할 수 있는 연산능력과 1백GB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를 보관하기 ... ...
2004년 쌍둥이 꼬마차 화성표면 탐사예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높이는 1.2m이고 무게는 1백10kg이다. 로버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적외선영역에서도
물체
를 볼 수 있다. 로버의 팔은 어른 팔 길이 정도이고 쭉 뻗거나 화성 바위를 만질 수 도 있다. 그리고 로버에는 10대의 카메라가 설치되는데, 하나는 화성 바위의 구조를 클로즈업할 수 있도록 설계될 계획이다. 또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이것을 백시현상이라 한다. 백시현상이 나타나면 바로 수m 앞도 분간할 수 없고
물체
가 구분되지 않아 빙벽 사이의 크레바스(깊이가 30-40m에 이르는 얼음층의 큰 균열)에 빠지거나 바다에 떨어지는 사고를 당하기 쉽다. 극지를 비행하는 비행사들도 거리분간을 하지 못해 추락사고를 내기도 한다.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