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것과 똑같은 크기의 힘으로 지구도 태양을 끌어당긴다. 그리고 힘이 가해지면 그
물체
의 질량에 따라 가속도를 받는다(F=ma). 그러나 같은 힘(F)이 작용해도 질량(m)이 작은 지구는 큰 가속도(a)를 받아서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지만, 질량이 큰 태양은 별로 가속도를 받지 않아서 움직이지 않고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갈릴레이 대칭성 또는 갈릴레이 상대성이라고 부른다. 갈릴레이는 배 안에 있는 여러
물체
들의 운동을 가정하면서, 배가 ‘등속직선운동’하고 있는 한, 역학법칙이 달라지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시속 7백km로 날아가는 비행기 안이라고 하더라도 여승무원은 지상에 있는 레스토랑에서처럼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과학의 눈은 아름다움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는 눈이다. 중력은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
에 작용하는 만유의 힘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다음 시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을까.우리는 어디로 갔다가 어디서 돌아왔느냐 자기의 꼬리를 물고 뱅뱅 돌았을 뿐이다 대낮보다 찬란한 태양도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공룡은 작은 육식공룡들이었다. 이들의 뇌는 특히 앞발의 움직임을 조정하고 움직이는
물체
에 관한 시각정보를 조화있게 조절하는 부분이 잘 발달돼 있다. 이러한 능력은 트루돈(Troodon)같이 매복해 도마뱀이나 포유류를 사냥하는 민첩한 공룡에게는 필수적이다. 트루돈의 눈은 매우 크며, 몸크기에 ... ...
오목 거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수 있다.오목 거울에서 항상 실상만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체
를 초점 안쪽에 두면
물체
의 한 점에서 나온 빛이 모이지 않고 퍼진다. 이 때는 마치 거울 뒤편의 한 점에서 빛이 퍼져 나오는 것처럼 반사된다. 이렇게 반사된 빛을 눈으로 봐도 역시 상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상은 실제로 빛이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잘못된 것이다. 서리는 기온이 빙점 아래로 떨어질 때 공기중의 수증기가 지면에나 주변
물체
에 붙어 응결된 얼음 결정이다. 가을이 되면서 밤 기온이 떨어져 영하로 내려가면 처음에는 물방울이 맺혀 이슬이 된다. 하지만 점차 온도가 더 내려가면 이슬이 얼어서 서리가 된다. 가을 절기인 백로(9월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인간의 눈을 모방한 초점렌즈로 거리를 판단한다. 코그는 이제 겨우 손과 눈을 조화시켜
물체
를 집거나 드럼을 치고, 초보적인 감정을 나타낸다.10여년 전부터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사이콥사(社)(www.cyc.com/)에서는 인간지능을 닮은 컴퓨터를 연구해왔다. 스스로 배우고 혼자서 판단하는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것을 좀더 과학적으로 풀어보자.회전하는
물체
의 운동을 나타내는 물리량을 물리학에서는 각운동량이라고 한다. 이것은 회전관성과 각속도의 곱으로 나타나는 양이다. 한 계에서 회전 상태를 변화시키려는 토크가 작용하지 않는 한 계의 각운동량은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르는 거대한 동심원 모양의 운석구덩이가 발견됐다. 이 정도의 운석구덩이를 만든
물체
는 지름이 10-15㎞로 계산됐다.특이한 소행성들소행성 중 지름이 3백㎞ 이상 되는 것은 10개 미만이고 1백-2백㎞가 2백여개, 나머지 대부분은 수㎞-수십㎞정도이다. 지금까지 많은 소행성이 발견됐지만 이들을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오차로 보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론적인 값도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이 실험은 질량 M인
물체
가 마찰력 f에 의해 일에너지로 전환되는 문제로 중요한 것은 일에너지를 계산할 때 마찰력과 중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조건은 M>>m, f>(M+m)g로 '마찰력은 실험 중 일정하다고 본다'는 말이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