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늘어나는 자동차의 매연에 그을려 자라지 못하고 말라 죽어갔다. 그뒤부터 중앙
분리
대는 시멘트벽으로 바뀌었다.향나무나 측백나무는 공기오염에 약하다. 더 약한 것은 잣나무 소나무 그중에서도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육송 등이다. 비교적 강한 것이 은행나무다. 버드나무와 포플러도 약한 축에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둘을
분리
해 낼 수 있을까. 그는 이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 마침내
분리
를 해냈고 그 업적으로 노벨상을 탈 수 있었다. 무심코 넘겨 버릴 수도 있는 문제를 차분히 파헤쳐 대발견을 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필자는 미국의 화학계를 높이 평가하는 사람은 아니다. 또 이 글을 읽는 ... ...
뉴멕시코사막에 핵폐기물 영구처분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영구처분장 건설에 한발짝 다가섰다. 환경보호기구(EPA)가 뉴멕시코사막에 건설될 폐기물
분리
시험공장(WIPP)을 승인한 것이다. 이 시설은 사막 한가운데에 8백m 깊이의 터널을 뚫고 그 속에 핵폐기물을 묻는 방식이다. EPA의 이러한 결정은 WIPP의 건설을 위해 15년간이나 노력해온 미국 에너지부의 ... ...
「컴덱스90」을 통해 드러난 91년 컴퓨터 유망상품 7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 용도는 주로 멀티미디어(multimedia)를 구현하기 위해서다. 멀티미디어란 종래에
분리
되어 사용되던 매체들(비디오 음향 문자 정보 등)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컴퓨터활용의 중요한 목적이 될 것이다. 멀티미디어는 특히 학습효과가 뛰어나다.비디오윈도스를 이용하면 주식시세를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있고, 입자의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무진복(無塵服)의 기술이 필요하다. 입자의
분리
이송과 부착방지를 위해서도 기류제어의 기술이 필요하며 입자제거에는 필터 기술이 요구된다.이상의 개별 요소기술들을 한데 묶어 원하는 청정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시스템 엔지니어링기술이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중·저준위폐기물을 위한 영구처분장과 사용후핵원료를 보관할 수 있는 중간저장시설을
분리
해 건설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사용후 핵원료를 위한 중간저장시설은 지질학적으로 안정된 지층을 필요로 했고 중·저준위폐기물을 위한 영구처분장은 지질구조는 상관없고 처리시설이나 기술이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한다. 얼마전 일본 도쿄대에서는 태아의 성(性)을 결정하는 두 종류의 정자를 의도대로
분리
, 선별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이를 이미 실용화된 시험관아기(testtube baby)기법에 연결시킨다면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그리스신화속의 아마존(Amazon)여인촌도 실현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확신하고 있다. 그리고 유전자재조합기술은 복잡한 생명현상과 관련된 유전자를 순수
분리
할 수 있게 한다. 또 유전자합성법을 비롯한 제반기술은 이들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무기를 제공해 준다.인간은 모든 면에서 지구상에서 가장 진화된 생물 종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200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영익박사팀)은 특히 난장이와 당뇨병환자가 반겼다. 인체의 간세포에서 성장인자를
분리
, 유전공학적으로 대량생산하는 이 기술은 사람의 성장촉진제로 쓰일 뿐 아니라 근육의 손상이나 골절의 치료제로도 유망하다.이른바 무공해농약이라고 불리는 미생물 살충제(김정일 박사팀)도 로열티를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여러 분야에 걸쳐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이 단백질은 순수한 형태로
분리
되기 시작했다.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을 만든다고 여겨지는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생산하기도 했다. 또 이 병에 걸린 햄스터의 뇌조직세포와 정상적인 뇌세포에서 메신저 리보핵산(m-RNA)의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