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다.공학적으로는 플라즈마 온도 1억℃, 또는 반응출력 ${10}^{14}$n·sec/㎤가 각각
분리
된 상태에서 달성한 바 있다. 두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반응은 현재 연구중으로 2050년 경에는 상용화가 가능하리라 전망된다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위해서는 그 대상의 현재상태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계측해내야 하므로 제어와 계측은
분리
될 수 없다. 전자공학의 발달과 컴퓨터의 등장은 제어계측 분야에도 '자동화'의 바람을 몰고와 이제 모태인 기초공학보다 더 방대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흔히 제어계측학과를 '로봇 만드는 과'로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 원자는 핵과 전자로 나뉘고, 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분리
된다. 물론 이들을 더 나누어 보면 모든 물질은 쿼크입자로 이뤄졌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이때 핵과 전자를 이어주는 힘이 전자기힘이고, 핵을 유지하게 해주는 힘이 이른바 핵력이다. 그후 이 핵력에는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현재까지 이룬 성공사례는 수없이 많다. 예컨대 박테리아에서
분리
된 유전자와 식물유전자를 결합시킨 키메라유전자가 있다. 이 키메라유전자를 담배에 도입해 발현시켰더니 놀랍게도 제초제에 내성(耐性)을 간직한 식물이 탄생되었다. 또 반딧불에서 빛을 내는 유전자를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여러 분야에 걸쳐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이 단백질은 순수한 형태로
분리
되기 시작했다.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을 만든다고 여겨지는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생산하기도 했다. 또 이 병에 걸린 햄스터의 뇌조직세포와 정상적인 뇌세포에서 메신저 리보핵산(m-RNA)의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여주 이천을 거쳐 충주 문경 김천으로 연결하는 새 철도를 건설, 경부선과 호남선을
분리
하는 방법도 실용성과 경제성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정부는 포화돼 있는 철도의 수송 용량을 고속철도로 해결한다는 정책을 이미 결정해 놓고 있다. 물론 이 결정은 타당성이 있다. 문제는 바퀴로 할 것이냐 ... ...
금이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노출되면 곡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금 이온들은 다른 이온들과
분리
되어 모두 특정지역에 모이게 되고 그랬을때 그 양은 측정이 가능해진다.결과적으로 30억톤의 해수에 1온스의 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바닷물이 대서양에서 수집된 것이거나 태평양의 ... ...
자원절약과 오염방지의 이중효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것은 아니다. 폐타이어 중 15% 정도는 재생타이어로 활용되고 있다.폐윤활유는 불순물
분리
가 쉬워 잘만 정제하면 재활용 가능성이 매우 큰 폐기물. 윤활유로 재활용할 수도 있고 연료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현재 자원재생공사가 청주에 가동중인 폐합성수지 재처리공장은 합성수지 중 ... ...
도로를 보다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넓은 도로라 할지라도 도로의 용량이 4분의 1로 줄어든다.좌회전 따로 직진 따로 주는
분리
방식보다는 한 방향의 좌회전과 직진을 동시에 주는 '동시신호'인 경우에 소통상황이 약간 좋아진다. 그러나 이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신호가 바뀔 때마다 황신호시간과 출발지연시간이 ... ...
근시·원시·난시를 수술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방출되는 1백93nm의 레이저 빛을 각막에 선택적으로 투사시킴으로써 각막의 분자결합을
분리
하는 것이다. 그러면 각막의 조직이 기화되어 각막표면이 깎이게 된다. 즉 눈과 레이저 사이에 엽전형태의 차단기를 설치한 다음, 근시 도수에 따라 차단범위를 점차 좁혀가면서 레이저를 쏜다. 그 결과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