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물리적, 공간적으로 제한돼 있는 인간과 자연에 한계를 정해준다.무어의 법칙과
마찬가지
로 메모리의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도 기하급수의 법칙이다. 개인용 컴퓨터(PC)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나 인터넷 트래픽은 황의 법칙이라는 말이 나오기 전부터 30년 동안 이미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몇차례. 궤도로 된 캐터필러는 아스팔트 도로와 달리 모래지형에선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
다.2004년 11월 24일 14시 겨울이 눈앞으로 다가오자 이곳 날씨도 10℃ 이상 떨어졌다. 오랜만에 부대 안에서 실시된 장비 점검. 롭해즈도 정비에 들어갔다. 막사 주변에서 롭해즈를 시험 주행했다. 그러던 중 ... ...
식인종가족의 강 건너기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번 단계까지 거꾸로 생각하면 오른쪽에 있던 가족들이 왼쪽으로 건너가는 것과
마찬가지
다.따라서 11단계에서는 7단계와 반대가 되게 아빠와 엄마가 함께 강을 건너가고, 12단계에서는 6단계와 반대가 되게 엄마 혼자 강을 건너온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모두 17단계 만에 가족 전체가 반대쪽 ... ...
시작을 알리는 봄의 작은 속삭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라는 동물들의 새 학기동물들도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느라 분주하기만 합니다. 사람과
마찬가지
로 어미의 몸에서 영양을 공급받으며 어느 정도 자란 후에 태어나는 동물들을 포유류라고 불러요. 그렇다면 포유류는 어떤 동물일까요? 첫째, 포유류는 체온이 늘 일정하답니다. 주위 환경에 따라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필요하게 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이때 단백질 합성이 필요한 시간도 학습할 때와
마찬가지
로 회상 후 몇 시간 동안이다.기억재강화는 연구자들에게 흥미를 끈 동시에 의심을 받은 현상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의심이 기억재강화가 사실은 처음 학습한 것에 대한 기억강화 현상의 연장일 뿐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행의 점이 동일한 색상을 띄고 있다면 우리는 열보다는 행의 패턴을 인지할 확률이 높다.
마찬가지
로 각 행의 점들이 열의 점보다 서로 좁게 배열돼 있다면 우리는 좀더 쉽게 행의 패턴을 인지하게 된다.눈도 착각한다착시란 실제 지각되는 대상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의 눈으로 느낄 때 대상물의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버티고 있을까? 그것은 다리가 힘을 효율적으로 나눌 수 있게 지어졌기 때문이지. 빨대도
마찬가지
야. 빨대를 다리를 만들 때 쓰는 철골이라고 생각해 봐. 감이 좀 잡히지? 단 빨대가 잘 휘어지고 약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해. 빨대가 약하다는 것을 생각 못 하면 저렇게 한 권만 올려도 무너지고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구구단 이상의 효과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19단을 외우면 두뇌가 개발된다는 주장도
마찬가지
였다. 뇌 전문가인 서울대 의대 서유헌 교수는 “19단을 외우면 좌우 뇌가 발달한다는 말은 전혀 타당하지 않다”며 “어린이에게 19단을 억지로 외우게 하면 오히려 창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용을 예측한 설계자는 다행히도 설계에 이를 반영했다. 원자로엔 다른 실험장치와
마찬가지
로 냉중성자원 설치를 위한 수직구멍과 여분의 부지가 마련됐다. 그러다 1990년대 후반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냉중성자연구시설 설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이들 기술이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미각 퇴화시켜그러나 유전자가 미각의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후각과
마찬가지
로 미각도 경험과 학습에 따라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의 연구자들은 젊은 세대의 미각이 둔감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학 신입생들에게 설탕(단맛), 소금(짠맛), 식초(신맛), 키니네(쓴맛),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