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목성이 그 자리에 없다는 것이다. 목성은 이미 일년 동안 좀더 움직여 있다. 일년 전과
마찬가지
로 태양, 지구, 목성이 일직선이 되는 충의 위치가 되려면 지구 또한 좀더 움직여야 한다. 즉, 지구 또한 천칭자리의 위치에 갔을 때에야 비로소 일직선이 된다.목성이 충의 위치에서 다시 충의 위치가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미각 퇴화시켜그러나 유전자가 미각의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후각과
마찬가지
로 미각도 경험과 학습에 따라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의 연구자들은 젊은 세대의 미각이 둔감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학 신입생들에게 설탕(단맛), 소금(짠맛), 식초(신맛), 키니네(쓴맛),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용을 예측한 설계자는 다행히도 설계에 이를 반영했다. 원자로엔 다른 실험장치와
마찬가지
로 냉중성자원 설치를 위한 수직구멍과 여분의 부지가 마련됐다. 그러다 1990년대 후반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냉중성자연구시설 설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이들 기술이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했다. 레인컴 신화의 원동력인 N10과 카메라가 탑재된 MP3플레이어 IFP-1000 역시
마찬가지
였다. 하지만 이노디자인이 제시한 디자인 컨셉에 따라 제작된 이 제품이 좋은 반응을 보이자 레인컴은 출시 예정된 모든 상품 계획을 완전히 변경했다. 얼마전 3세대 GSM회의에서 발표된 삼성전자의 바타입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암’이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질병이 사실은 수많은 원인을 갖고 있듯이 자폐증도
마찬가지
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자폐증의 실체는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지난 수년동안 자폐증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상당히 진척됐기 때문이다.1943년 미국 존스홉킨스아동정신병원 레오 캐너 박사가 ... ...
예쁜 수컷, 강한 암컷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같다. 모든 동물은 주변 환경에 따라 강한 암컷도 됐다가 예쁜 수컷도 된다. 사람도
마찬가지
다. 자신 안에 숨어 있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필요에 따라 골고루 발휘하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사람이라는 동물에게 가장 유리한 생존 전략일 것이다 ... ...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것. 맹수가 쫓아올 때와
마찬가지
로 컴퓨터를 쓸 줄 몰라 화가 치밀 때도 우리 마음은
마찬가지
의 ‘스트레스’ 반응을 한다. 그 결과 컴퓨터를 발로 차거나(싸우거나) 컴맹이 된다(도망친다). 노먼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쓰다가 짜증을 내는 것은 당연한 반응”이라며 “생각이 많이 ... ...
7. 디자인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노력도 점점 강화되는 추세.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05’에서도
마찬가지
였다.한국을 대표해 참가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핵심전략제품을 전시장에 선보이지 않았던 것. 이미 완성된 디스플레이제품과 이동통신기기를 행사장에 내놓지 않았다. 출시 예정 제품을 모두 쏟아냈던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문제는 유동제어 분야에서 주요 연구대상이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사소한 소음 역시
마찬가지
다.실제 성 교수는 자동차 소음을 우선 연구하기로 했다. 오래 전부터 사이드미러는 자동차 소음의 주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아무리 매끈한 차체를 자랑하는 차량이라도 사이드미러가 일으키는 소음은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번역본이었는데 한 권도 빼놓지 않고 죄다 읽었다.“PC통신 때문에 여기까지 온 거나
마찬가지
예요.” 그가 수학퍼즐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한 PC통신의 수수께끼 게시판을 통해서였다.1991년 서울대 수학교육과 재학 당시 그는 그 게시판을 자주 드나들었다. 마침 그곳에는 수학퍼즐을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