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250년 된 웨어링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가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1000 이하의 자연수 중에 33, 42, 114, 165, 390, 579, 627, 633, 732, 795, 906, 921, 975를 뺀 나머지 해를 모두 찾았습니다. 부커 연구원은 같은 학교 수학과 티모시 브라우닝 교수가 수학 전문 유튜브 채널 ‘넘버파일’에서 이 문제를 소개한 걸 보고 n=33인 경우의 해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
- 스토브리그. 데이터를 보고 선수를 픽해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런 선수는 너무 적다. FA로 풀린다 해도 매우 비싸다. 구단 재정상 원하는 선수를 모두 영입할 수 없다면, 남들이 보지 않는 ‘숨은 데이터’를 찾아 좋은 선수를 저렴하게 데려와야 한다. 숨은 데이터를 찾기 전 먼저 아래 문제를 풀어보자. 이것만 알면 야잘알~?빌리 조를 비롯한 많은 구단에서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완벽한 분석을 끝냈다고 생각한 빌리 조. 그러나 올 시즌 최고의 변수가 생겼다. 바로 공인구다. 2018년 극심한 타고투저(전체적으로 타자의 기량이 투수보 ... 위주로 승부해야 하는 선수들에게 변수로 작용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 시즌은 모두 봐야 공인구 효과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 ...
- 이상엽|국제학술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완성해 발표하며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으로 그의 글로벌한 영향력을 모두 설명하긴 어렵다. 2016년부터 2년간 전세계 오피니언 리더들이 참석하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글로벌미래위원회 중 생명공학위원회의 초대 공동의장을 맡았고, 지난해 제2대 공동의장으로 재선임됐다. ... ...
- [알고리듬 시그널] 시각은 용납하지 않는다! 집합 덮개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지점으로 각각 S1={1, 2, 3, 8}, S2={1, 2, 3, 4, 8}, S3={1, 2, 3, 4},…, S10={6, 10}이죠. 부분집합을 모두 찾았다면 이제 어느 위치에 기지를 지으면 가장 적은 개수로 전체를 감시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선택한 부분집합 Si들의 합집합이 전체집합이 되면 된답니다.찾았나요? 정답은 2번과 6번 ...
- Part 4. 잡지 말고 관찰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높이 평가받은 무주 반딧불 축제, 군산과 서천의 철새 축제가 대표적이지요. 이 축제들은 모두 동물을 해치지 않고 관찰한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답니다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진동시켰어요. 리모컨카는 좌우 양쪽에 끼운 조이콘의 진동으로 움직이거든요. 양쪽이 모두 진동하면 전진하고, 왼쪽만 진동하면 오른쪽으로, 오른쪽이 진동하면 왼쪽으로 이동하지요. 또 120Hz부터 220Hz까지 진동수를 바꿔 속도도 조절할 수 있어요. “리모컨카는 진동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본체가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기술도 개발 체세포를 역분화하기 위해 야마나카 칵테일 속 전사 유전자를 모두 움직일 필요도 없어졌다. 특히 OSKM 유전자 4개 중 c-Myc 유전자가 암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 유전자 부위를 아예 건드리지 않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됐다. 그 결과 만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Oct4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메타물질이 무조건 ‘음의 굴절률’은 아닌 셈이다. 두 번째로 유전율과 투자율이 모두 음수이면 위상속도와 굴절률이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때는 빛이 오른쪽 그림 2처럼 진행한다. 초고해상도 현미경 등에 쓰이는 ‘슈퍼 레졸루션(super-resolution)’ 기술이 바로 이런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리고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리 은하 바깥에 있는 외부 은하들이 모두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현상을 발견하면서 우주 팽창은 사실로 증명됐습니다.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거꾸로 생각하면 과거의 우주는 현재보다 더 작았다는 뜻입니다. 계속 거슬러 올라가면 어떨까요? 아주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