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 Black Hole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 형체조차 보이지 않는다고 알려진 블랙홀. 지금까지 우리가 봐왔던 블랙홀의 모습은 모두 상상도다. 그 누구도 블랙홀의 ‘실사’를 단 한 차례도 보지 못했다.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을까. 2006년 전 세계 36개 기관 소속 천체물리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을 동원해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하기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고, A는 블랙홀을 탐험하기 위해 블랙홀로 자유낙하하고 있다고 하자. 두 관측자는 모두 관성계에 있으므로, A가 관측하는 A의 시계의 시간 간격과 B가 관측하는 B의 시계의 시간 간격은 항상 동일할 것이다. 먼저 A의 상황을 살펴보면, A의 시계는 계속해서 1초마다 레이저를 발산하고, 자연스럽게 ...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적힌 각설탕 조각이 있어야 할 위치가 정해져야 하지요. 명사, 조사, 부사의 위치까지 모두 고려해 문장을 만드는조합은 여러분이 직접 계산해 보시죠. 솜사탕, 탄생의 비밀여러분이 선택한 각설탕 조각으로 솜사탕을 만들어 볼게요. 솜사탕은 설탕을 부풀린 모양의 사탕입니다. 재밌게도 지금 ... ...
- 디제잉하는 수학 '인싸'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내가 듣고 싶은 음악을 들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DJ 단체를 만들었어요.Q 수학, 디제잉 모두 잘 하는 비결이 뭔가요? 둘 다 제가 사랑하는 일과 직업이라서 아주 열심히 하거든요. 돈을 얼마 버는 지에 상관없이 저는 수학자라는 직업과 음악을 즐기는 일에 만족합니 다. 무엇보다 즐기세요! 스페인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도(교토) 3인방’으로 불린 이태규(화학), 이승기(화학공학), 박철재(물리학)는 모두 교토제국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모교에 자리를 잡은 조선의 자랑이었다. 이화학연구소에서 비타민E에 관한 선구적 연구로 명성을 얻은 도쿄제국대학 출신의 김양하는 노벨 과학상 후보로 추천해야 한다고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4일, 국내에서 난임 치료로 유명한 차병원과 마리아병원을 차례로 방문했다. 두 병원 모두 ‘가임력보존센터’에서 냉동 난자 시술을 하고 있다.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로비에는 6개의 거대한 냉동 탱크가 전시돼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었다. 탱크 속에는 배아, 난자, 정자가 냉동돼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풀기로 한다. 이제 시작해 보자! ※오일러 프로젝트란?2001년 수학과 프로그래밍 실력을 모두 키울 수 있도록 만든 수학 문제 웹사이트로, 수학 문제를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는 게 목적이다. 현재 600개 이상의 문제가 올라와 있으며, 2주에 1번씩 새로운 문제가 추가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를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모두 신이 만들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떻습니까. 이런 자연현상은 모두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이제는 우주를 지배하는 거의 모든 법칙을 과학이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Q. ‘거의 모든’이라면, 신의 영역은 남아있는 건가요?이제 종교가 주장할 수 있는 유일한 분야는 우주의 ... ...
- [지구사랑탐사대] 신입팀이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은? HELE-B4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웃음) 지구사랑탐사대 : 내년에도 지사탐 활동을 할 생각이에요? 네! 7기에서는 6종 모두 수료하는 데 도전할 거예요. 리더 팀들처럼 주제를 좁혀서 깊고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보고 싶기도 하고요. 지사탐 활동은 큰 목표보다는 작은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해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던 연구자들이 있었다. 바로 조복성과 김병하다. 이 둘은 모두 박물학을 통해 대중을 일깨워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조복성은 평양고등보통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보통학교 교사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예과 연구원으로 활동한 인물로, 1929년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