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뉴스
"
형성
"(으)로 총 4,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에서 퇴짜 맞은 진단키트...'더이상 굴욕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또 항원 여러 개를 조합해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신 단장은 “처음엔 N단백질로도 항체
형성
만 되면 100% 잡아냈는데 S 단백질을 함께 쓰면 감염 초기에도 검출하기 유리하다는 걸 발견했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어두운 구름이 가득한 하늘을 우주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상상한 그림을 이번주 표지에 실었다. 잘 보면 매우 복잡하게 엉켜 하늘을 가득 덮 ... 이 안에서 고도에 따라 물과 암모니아가 비 또는 우박으로 내리며 다양한 번개를
형성
한다고 추정했다. ... ...
엑셀 썼다가 날짜로 오인돼 이름 강제로 바뀐 유전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엑셀이 유전자 이름을 3월(March)이라고 인식하고 바꿔버리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세포
형성
단백질 ‘셉틴’과 연관된 SEPT9 유전자는 9월 9일(9-Sep)로 바꿔버린다. OCT4는 10월 4일(4-Oct), DE1은 12월 1일(1-Dec)로 바뀐다. 엑셀에 MARCH1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자 1-Mar로 자동으로 변환해준다. 엑셀 프로그램 ... ...
코로나19 중증과 경증, 면역세포 기능이 가른다
연합뉴스
l
2020.08.07
맞춰졌다. 면역 반응 초기 최전선에 투입되는 이들 면역세포는 추후의 항체
형성
과 다른 면역세포 동원 등에 관여한다. 코로나19 중증 환자와 경증 환자는 이 지점에서 확연히 갈라졌다. 경증 환자는 호중구와 단핵구가 모두 제 기능을 수행해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켰다. ... ...
원폭이 남긴 상흔...피폭된 사람들 어떤 고통 겪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고온을 발생해 주위 공기를 뜨겁게 한다. 뜨거워진 공기는 급격히 팽창하며 불덩어리를
형성
해 고열의 열복사선을 방출한다. 20kt(킬로톤·1kt은 TNT 1000t)의 표준 원자폭탄의 경우 100만 분의 1초 안에 섭씨 6000만도의 열을 발생시킨다. 문제는 이런 엄청난 폭발 후에도 ‘죽음의 재’라 불리는 ... ...
[8.6과기관계장관회의]내년부터 바다에서도 초고속 IT서비스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e내비게이션 등 디지털 조선·해운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약 30조원 규모 시장이
형성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올해 스마트 해양교통체계 도입을 위한 시범 인프라를 전국에서 운영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해양사고 방지를 위해 선박 충돌·좌초 자동예측 경보와 선내 ... ...
수젠텍 "코로나19 확진부터 완치까지 단계별 진단키트 마련한다"
연합뉴스
l
2020.08.06
중화항체 검사키트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능력을 갖는 중화항체가
형성
됐는지 검사한다. 완치자 판별뿐만 아니라 향후 개발될 백신의 효능과 투여 여부를 판단하는 데 쓰일 수 있어 장기적인 수요가 예상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손 대표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와 달리 지금은 ... ...
국내 연구진이 건강한 태반 발달 유도할 '스위치'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8.06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이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배아줄기세포에서 PHF6를 없애자 배반포
형성
과 태반 발달에 이상이 생긴 모습이 관찰됐다. PHF6는 DNA를 휘감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을 인지하는 후성유전 인자다. 연구팀은 PHF6가 히스톤 단백질에 붙은 아세틸기(화학적 변형)를 감지하면 ... ...
'힉스 입자'의 뮤온 직접 붕괴 실험으로 첫 확인...한국CMS팀 큰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다른 붕괴 경로 관측에도 도전했다. 특히 다단계를 거치지 않은, 한 번의 붕괴로
형성
된 산물을 측정하기 위해 노력했다. 힉스 입자가 다른 입자로 붕괴되는 비율은 두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질량이 커서 상호작용이 큰 입자는 붕괴 비율도 높아 관측이 상대적으로 쉬운 ... ...
전파망원경+측성 기술 외계행성 첫 관측, 제3의 방식 기대
연합뉴스
l
2020.08.06
비슷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 것을 넘어 더 많은 행성을 찾아낼수록 태양계
형성
과 우주의 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천문학의 중요 목표가 되고 있다.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