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
닮지 않음
틀림
부동
상이
d라이브러리
"
다름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컴퓨터로 즐기는 소리탐험
과학동아
l
199610
악기는 달라도 같은 음이므로 주기가 같기 때문이다.그런데 파형을 살펴보면 두 소리가
다름
을 알 수 있다. 진폭이나 주기와 상관없이 두 악기가 내는 소리는 반복되는 파형의 모양이 다른 것이다. 이것이 두 악기의 소리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다. 사람의 목청을 비롯해 여러가지 악기가 같은 음을 ... ...
치열한 왕권다툼, 어제의 동업자가 오늘의 적
과학동아
l
199609
원색의 스웨터로 유명한 세계적인 의류회사 베네통의 광고사진에서처럼 피부색이
다름
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함께 나라를 세우는 일에 전념한다.이해타산만이 지배한다그러나 이런 달콤한 신혼도 잠깐뿐. 일개미들이 하나 둘 태어날 때가 되면 핏줄울 넘어섰던 사랑은 간데없이 사라지고 하나 밖에 ... ...
멜라토닌 열풍 이미 상륙
과학동아
l
199608
때문에 약품의 영역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보건복지 제도가
다름
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식품으로 인정되면 우리나라도 그래야 된다는 식의 발상이 문제” 라고 지적한다.그렇다면 멜라토닌을 수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제조해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약품 ... ...
1. 소화효과 각양각색
과학동아
l
199608
또 각 회사에서 3대 영양소를 모두 소화해낸다고 했지만, 소화제마다 그 정도가
다름
을 알 수 있었다. 알약2와 알약3, 그리고 물약3이 3가지 실험에서 거의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결과를 보여줬다. 소화제 중 3대 영양소 모두를 탁월하게 소화시키는 소화제도 있었지만 그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06
일조차 생각할 수 없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공포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보자.평소와
다름
없는 아침이다. 당신은 세느 강변을 따라 달리는 차에 앉아 있다. 차는 이제 막 고속도로로 연결되는 터널로 들어가려는 참이다.그런데 갑자기 모든 것이 평소와 달라보인다. 오렌지빛 네온은 흔들거리며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12
그리고 1958년 1월4일 임무 수행을 마치고 대기권으로 사라졌다. 이 인공위성의 이름은
다름
아닌 스푸트니크(Sputnik)1호. 러시아(옛 소련)가 발사 한 스푸트니크1호는 전세계인에게 충격과 놀라움을 안겨줬다. 인류에게 우주에 대한 새로운 꿈을 심어준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게는 더없이 자존심을 ... ...
7 고급감-시대 문화적 배경까지 포함
과학동아
l
199511
지역별 고급감에 대한 연구를 통해 프랑스의 고급감과 영국의 고급감에 대한 개념이
다름
을 조사했다. 이에 따라 프랑스 쪽으로 수출하는 차종과 영국으로 수출하는 차종의 스타일은 동일했지만, 영국 수출 차종에는 내부를 장미무늬목의 나무느낌이 나는 플라스틱을 이용하고 프랑스 수출 ... ...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10
제작기술을 이용해 극소형 센서 개발을 성공시켰다. 하우가 사용했던 기술은
다름
아닌 묘화기술(lithography). 그는 학위를 받은 후 MIT로 자리를 옮겨 마이크로모터 개발을 구체화시키기 시작했다.이때부터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과 MIT 사이에는 치열한 마이크로모터 개발 경쟁이 본격화됐다. 70년대 ... ...
인터넷 전문회사 넥스텔 대표 김성현
과학동아
l
199510
인터넷처럼 엄청난 잠재 고객이 모여 있는 곳을 놓친다면 사업을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
없지요. 전문가만의 전유물이 아닌, 의욕을 가진 모든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이 돼야 제 사업도 성공하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오는 10월경부터 넥스텔에서는 현재의 인터넷 서비스와 ... ...
2 왓슨과 크릭, 이중나선 구조 발견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09
42년 전인 1953년 생물학과 의학 분야에 대전환을 가져온 하나의 사건이 발생했다.
다름
아닌 DNA의 3차원적 이중나선형 구조가 당시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 있던 제임스 왓슨(James D. Watson)과 프렌시스 크릭(Frencis H.Crick)에 의해 발표된 것이다.DNA의 이중나선구조가 발표된 지 40년을 기념하기 위해 미국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