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
닮지 않음
틀림
부동
상이
d라이브러리
"
다름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04
존재하지 않을 듯 싶은 지구의 대기권 성분에 대한 가장 그럴 듯한 설명은 그것이
다름
아닌 지구 위의 생물들에 의해 하루하루 착실하게 만들어진 것이라는 사실이었다.그는 지구 대기권에서 보여지는 분명한 엔트로피 감소 현상―다른 말로 표현하면 대기권 기체들의 영속적인 비평형 상태를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80년대 중반에 뇌에서 혼돈의 끌개를 발견하고, 지각을 가능하게 하는 뇌의 특성은
다름
아닌 혼돈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냄새에 반응하는 기관인 후구(嗅球)와 시각중추에서 수백만개의 신경세포가 보여주는 행동이 혼돈임을 발견해낸 것이다. 신경세포집단의 복잡한 활동은 무작위적으로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01
전체적으로는 안정된 카오스계의 개념을 분명히 했다. 안정된 카오스계란
다름
아닌 우리가 이제까지 규칙적인 흐름이라고만 생각했던, 즉 뉴턴의 지시를 아주 잘 따르는 동력학계가 미시적으로는 혼돈현상을 보인다는 의미다.그후 보이저가 찍어보낸 목성의 대적반도 안정된 카오스계의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01
조금씩 차이가 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차이가 검은 띠 모양과 퍼진 정도의
다름
으로 나타나며 많이 다를수록 친척 관계가 멀어지는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겉모습으로 드러난 모든 생물체들의 감추어진 본질은 염색체 속에 숨겨진 유전자들 속에 각안돼 있다. 유전공학이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12
있다. 컴퓨터는 전문가들만 사용하는 기기라는 인식을 완전히 뒤집어놓은 주인공은
다름
아닌 멀티미디어다.멀티미디어는 기존의 고성능 컴퓨터에 영상과 음성기능 등을 접목시킨 차세대 뉴미디어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해주는 과거와 달리 사용자가 대화식으로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11
교과과정에도 소개가 되고 있을 정도이지만 은하의 진화이론 분야는 아직도 황무지나
다름
이 없어 어디에도 소개되고 있지 않다.따라서 은하의 진화를 이해하는 일에 결정적 열쇠가 될 수밖에 없는 은하핵의 연구는 앞으로 세계각지에 세워질 8m급 초대형 지상망원경들의 중요한 임무가 될 것이다. ... ...
'93 EXPO 국제마이크로 로봇 대회
과학동아
l
199311
컴퓨터공학 기계공학 등 첨단 기술이 모두 동원되야 한다는 점에서 산업체의 로봇과
다름
이 없다.마우스가 통해야 하는 미로는 18㎝×18㎝의 장방형 단위구역 16×16으로 구성된다. 미로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는 인간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같은 크기는 별것 아니지만 25㎝×25㎝ 이내의 크기를 가진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
과학동아
l
199305
있음을 뜻한다. 즉 각 위도별로 지표면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 흡수량이 계절에 따라
다름
을 뜻한다.지구에 의해 흡수되는 태양에너지는 저위도대가 고위도대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1년을 통해서 보면 약 40°보다 저위도인 지대에서는 들어오는 열량이 나가는 열량보다 크고, 고위도대에서는 그와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03
영어의 'John likes Mary와 Mary likes John'의 두 문장에는 똑같은 단어들이 쓰였지만, 그 구조가
다름
으로써 의미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구조가 드러나 있지 않은 문자열(또는 단어의 연속체)에서 통사적(문법적) 구조를 찾아 내는 과정을 파싱(parsing)이라고 하며, 이것이 자연언어처리의 중요한 하위 ... ...
모형선으로 일류 조선국 꿈키워
과학동아
l
199302
우리 조선공업이 세계 1, 2위를 다투고 있지만 1950년대만 해도 거의 황무지나
다름
없었다. 서울대 교수로 재직중이던 필자는 당시 인하공대에도 전임대우 교수로 출강했다.당시 조선공학을 전공하던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기술을 실제 현실에 적용할 수 없는 점을 매우 안타까워 했다. 변변한 조선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