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거대한 물탱크를 두고 중성미자를 기다리고 있어요. 우리나라 기초과학연구원도 2021년 완공을 목표로 강원도 정선군에 중성미자 검출기를 건설하고 있고요.이처럼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중성미자에 대해 인류가 모르는 게 아직 많기 때문이에요. 가장 기초적인 정보인 질량조차 정확하게 밝히지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3D 프린터로 태엽 시계 만드는 영상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 Joseph’s Machines (구독자 수 : 102만 명) 이건 퀴즈를 푸는 영상입니다. 규칙은 간단해요. 공이 몇 번 문으로 들어갈지 맞히면 되죠. 얼핏 보기엔 단순할 것 같지만, 생각보다 많은 상상력이 필요할 거예요. 이 영상을 두 배 더 재밌게 보는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 일시정지를 절대로 사용하지 않고 ... ...
- [헷갈린 과학] 오징어 VS. 한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몸집만큼이나 큰 눈도 특징이에요. 스웨덴 룬트대학교 연구팀은 대왕오징어가 거의 농구공 만한 크기의 왕눈으로 바닷속 미세한 빛의 변화를 감지해 천적인 향유고래를 피한다고 추정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갔답니다. 이는 역사상 가장 가까운 거리를 지나간 소행성으로 기록됐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소행성 ‘2020 QG’의 지름을 1.8~5.5m로 추정했어요. 이 소행성은 호주 동쪽의 태평양 하늘 위를 시속 4만 4000km 정도의 속도로 지나갔지요. 이때 지구에서 소행성까지의 거리는 약 2950km로, 서울에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덜덜덜...진동의 위력을 눈으로 느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소리가 크면 스피커의 진동이 커지고, 음이 높아지면 스피커의 진동은 빨라진답니다.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큰 스피커는 땅이 울릴 정도로 강하게 진동하죠. 스피커 위에 올려놓은 전분 반죽이 춤을 추는 이유는 스피커의 진동이 전분 반죽으로 전달되기 때문이에요.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고요하게 누에고치에서 명주실 뽑기 조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웅하! 반갑소. 얼마 전에 길을 걸으며 스마트폰으로 과학 영상을 보고 있었는데, 눈앞에 서 있던 전봇대를 보지 못해 부딪힐 뻔 했소! 전봇대였기에 ... 궤적을 읽고 움직이는데, 그 움직임이 꽤 민첩해요. 로봇 키퍼가 반응하지 못할 정도로 공을 빠르게 차면…, 과연 골을 넣을 수 있을까요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알기 위해서였지요. 만약에 구와 정육면체 등에 작은 공을 던지면 각기 다른 모양에 따라 공이 튕겨 나오는 방향과 속도도 다를 거예요. 연구팀 역시 이런 원리를 이용했지요.그 결과는 러더퍼드가 핵을 발견했던 실험만큼이나 핵물리학자들을 놀라게 했어요. 양성자 안에 있는 입자는 형태도 부피도 ... ...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장비에 생물막이 생기면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작년 하반기,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국제 연구팀은 ISS에서 생물막이 어떻게 자라는지 알아보기 위한 ‘스페이스 바이오필름 미션’을 시작했어요. 연구를 주도한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캠퍼스 루이스 제아 교수는 “우주에서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수학과 과학을 공부하게 됐죠. 과학자들을 자주 만나고 공동 작업을 하다 보니 융합예술에도 관심을 갖게 됐어요. Q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예술과 과학을 융합한 작가에게 주는 ‘콜라이드 국제상’도 수상하셨어요.수상자로 CERN에서 보낸 3개월은 제 안의 울타리를 ... ...
- [특집] 아이디어1. 힘세고 오래 가는 태양전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면적을 넓힐 수 있겠죠?한편, 올해 6월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공학대학교 연구팀은 공 모양의 태양전지를 만들었어요. 이는 겉으로 불룩 튀어나온 반구 형태의 파리의 눈에서 착안한 모양이죠. 파리는 이런 구조의 눈 덕분에 넓은 범위의 빛을 받아들여 시야각이 270°나 된답니다. 실제로 이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