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해 소개 부탁드려요~. 이충욱 KMTNet은 동일한 성능의 망원경 3대를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에 설치해 우리은하 중심부를 집중적으로 관측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시스템입니다. 망원경이 설치된 3곳은 각각 밤이 되는 시간이 조금씩 달라서 관측하려는 지역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닐스 카이 예르네는 1955년 면역시스템의 발달과 조절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무수히 많은 물질을 인식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항체를 몸속에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중 자주 쓰는 항체는 더 많이 살아남고, 덜 쓰는 항체는 적게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세웠습니다. 실제로 하사비스는 게임을 개발하면서 NPC들의 상호작용을 고민하다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느끼고 연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게임이 아니었으면 알파고가 나오지 못했을지도 몰라요!이보다 좀 더 ‘수학자’스러운 게임을 즐긴 수학자도 있습니다. 2020년 4월 아주 안타깝게 코로나19로 ... ...
- [시사과학] ② 유소년 축구에서 헤딩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다섯 번 이상 헤딩을 해선 안돼요. 또 헤딩 훈련을 할 때는 공기를 덜 채운 낮은 압력의 공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규정은 훈련에서만 적용되므로, 경기 중에는 자유롭게 헤딩을 할 수 있습니다. FA의 새로운 규정을 두고 우려하는 의견도 있어요. 헤딩은 축구의 중요한 기술이거든요. 경기당 한 ... ...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분야에 쓰인다. RSA 암호를 발표한 해, 개발자들은 100달러 상금을 건 암호문을 하나 공개한다. 이 암호를 풀려면 129자릿수를 소인수분해해야 했다. - 암호를 만든 까닭은? RSA 암호 개발자들은 이 암호가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한지 철저하게 검증하고 싶었다. 그 검증 과정의 하나로 ...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작업을 시작할 때마다 연구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에 가장 공을 들인다. 세상에 처음 공개되는 연구 결과를 표현하는 그림이기 때문이다. 마치 처음 보는 식재료로 지금껏 없던 요리를 만들어야 하는 요리사의 심정이다. 심지어 보기 좋고 맛있어야 한다.연구자로부터 논문과 스케치를 받으면, 어떤 ... ...
- [수학뉴스] ‘핀볼 모형’으로 지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핀볼 모형’을 이용해 단층의 갑작스런 움직임을 예측했습니다. 공이 여기저기 부딪히며 이동하는 ‘핀볼 게임’에서 따온 단어로, 돌이 핀볼처럼 굴러내려오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수학 모형입니다. 연구진은 단층이 갑자기 움직일 때 돌이 단층면에 진동하듯 부딪히며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육상 기록 단축한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로열 소사이어티 오픈 사이언스’ 3월 25일자에 발표했습니다.국제육상경기연맹 공인 트랙에는 두 개의 평행한 직선을 반원으로 연결한 표준 트랙과 풋볼, 럭비 경기장 주위에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두 종류의 호로 만든 트랙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는 반원 부분의 반지름이 커서 원심력의 ... ...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때 과학동아를 처음 접했다.결국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진 플러버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때부터 발명가가 되겠노라며 이것저것 만들어보기 시작했다. 중학교 2학년 때 전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발명대회에서 ‘김밥을 한 번에 같은 크기로 자르는 장비’로 상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주변의 붉은 성운(Sh2-129)의 모습을 선명하게 포착했다. 작가가 천체사진가인 신정욱 씨와 공동으로 강원 화천군에서 2019년 8~9월 3번에 걸쳐 촬영한 것으로, 2대의 촬영 장비로 얻은 데이터를 병합했다. 이지수· 심우주 분야 동상1억 개 점으로 나타낸 우주의 삶과 죽음지구에서 약 5300광년 떨어진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