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똥"(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상상을 했다. ‘철새를 포획할 때 사진을 어떻게 찍을까?’, ‘새들이 꽤 많을 텐데 설마 똥을 맞지는 않겠지?’ 하지만 그곳에서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 기다리고 있었다.안성천 다리 밑에서 하늘만 바라본 하루“철새 등에 스마트폰을 달아 주는 거라고 보시면 돼요.”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실력자 긴다리소똥구리가 20여 년 만에 발견됐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신비로운 소똥구리가 우리와 함께 숨 쉬며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두근두근 설렌다. 개체수가 점점 늘어나 신비로운 모습을 계속 볼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거위처럼 목이 길쭉해 거위벌레라는 이름이 붙은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래서 와트니는 남은 음식 찌꺼기는 물론 몸에서 나오는 모든 물질(대원들이 남기고 간 똥 봉지까지)을 한데 모았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거름과 물을 막사 바깥에서 들여온 화성의 흙에 섞어 양질의 흙을 만들기로 했다. 거주용 막사는 일종의 밭으로 변했다. 막사의 면적은 약 92m2다. 10cm 깊이로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잘못된 학설을 뒤집기 위해 별별 실험을 다 해봤다. 똥을 나무꼬챙이에 꽂아서 쇠똥구리가 버둥거리게 만든 모습을 누군가 봤으면 미쳤다고 했을 거다. 그래도 그건 낫다. 사거리에서 벌이 든 통을 들고 빙글빙글 도는 모습을 옆집 처녀가 봤다면, 아마 내게 마귀가 씌였다고 생각했을 거다. 송충이의 ... ...
- [과학뉴스] “눈물은 맛있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줄리아 나비(Dryas iulia) 두 마리가 거북의 눈물을 마시고 있다. 거북은 통나무에서 햇볕을 쬐면서 기다려준다. 나비나 나방은 주로 꽃꿀이나 과즙을 먹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론 진흙이나 눈물, 피, 땀, 똥, 사체 등 다양한 액체에 주둥이를 들이댄다. 염분과 미네랄을 얻기 위해서다.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2 동물의 똥을 한데 모은다.3 모은 똥을 밀폐용기에 넣고 오랜 시간 동안 발효시킨다.4 똥에서 나온 메탄가스를 저장고나 풍선에 따로 모은다.5 메탄가스를 발전 시설로 보내 태운다. 이 힘으로 모터를 돌려 전기를 만든다.나뭇잎의 광합성 비결을 배워라!생물을 직접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연구도 ...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애벌레는 도토리 안에서 열매를 먹으며 자라요. 그러다 이듬해 봄이 되면 애벌레는 똥을 가득 싸 놓은 뒤 도토리를 탈출한답니다. 4월쯤부터 어른이 된 도토리바구미를 만나 볼 수 있을 거예요.최숙영 숲 해설가님의 재미있는 설명을 들으며 숲길을 걷는 동안 한 봉지 가득 나뭇가지가 모아졌어요.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늠했다. 그들은 낙타의 고기를 먹고 낙타의 가죽으로 만든 텐트에서 잤으며, 낙타의 똥을 땔감으로 사용했다. 심지어 낙타의 오줌으로 머리를 감기도 했다. 척박한 사막에서 살아온 아랍인의 역사는, 낙타와 함께 한 긴 여정이었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낙타는 약 4500만 년 전 아메리카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발견했어요! 혹시 이 호수에 보물이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요?동굴 생물의 먹이는 ‘똥’국제생물종탐사연구소에서는 매년 발견되는 신종 생물 중 가장 특이하고 흥미로운 종을 10가지를 골라 발표해요. 지난해에는 동굴에서 사는 동물이 두 종이나 포함됐어요. 그 주인공은 ‘해골새우’와, ‘돔 ... ...
- 새해에는 작심66일! 굿바이 게으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나무늘보는 하루에 15~20시간을 나무에 거꾸로 매달려 있어요. 일주일에 딱 한 번 똥을 누러 갈 만큼 게으르지요. 그런데 이렇게 나무에 오랫동안 매달려서 느릿느릿 움직이기 때문에 언뜻 나무늘보는 나뭇가지나 새 둥지처럼 보여요. 즉, 우리에게는 게으름을 피우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