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똥"(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2024.03.03
- 수메르 점토판에는 맥주나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상처를 씻고 포도주 찌꺼기와 도마뱀 똥 등으로 만든 습포제(파스)를 사용하고 상처에 붕대를 감는 방법 등을 사용했다. 기원전 400년 경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BC 460-377?)는 상처에서 고름을 제거해야 빨리 나을 수 있다고 주장했고 2세기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2022.04.19
- 음식 찌꺼기나 피지(개기름)를 대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휘발성 분자가 주범이다. 똥 냄새 역시 대부분 장내미생물의 작품이다. 인체 거주 미생물의 조성이 달라지면 체취도 바뀐다. 끝으로 인체 세포가 대사 과정에서 만들어 내는 휘발성 분자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오줌 냄새로 어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생물 공장2022.03.22
- 한국의 C₁ 가스 리파이너리 연구자들도 멋진 성과를 얻기를 기대한다. 1994년 토끼 똥에서 발견한 미생물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일산화탄소(CO)와 수소(H₂)를 먹고 에탄올(ethanol)을 내놓는다. 이 과정의 대사회로로, 아래 왼쪽에 중간 산물인 아세틸코에이(acetyl-CoA)가 보인다. 최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불안이 만들어내는 착각2021.10.30
- 만들어내는 착각일 뿐 실제와는 다르다. 불안할 때 내 마음이 하는 이야기들은 대체로 '똥'인 것이다. 또 내 삶은 내가 불안해하는 영역보다 훨씬 크다. 어떤 하나가 삶의 전부라고 느끼는 것은 높은 확률로 착각이다. 불안에 잡아먹히지 않고 삶을 균형있게 바라보는 한 주가 되길 바란다. ... ...
-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1.07.31
- 56종의 생물체가 살고 있다고 발표했다. 빛도 없고 온기도 없는 동굴에서 동굴 박쥐의 똥은 이들 생물에 귀한 영양분이 되고 있다. 이날 박쥐의 모습을 볼 수 없지만 동굴 속 물웅덩이에서 생명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물웅덩이에 불빛을 비추자 희끗희끗 하얗고 작은 생명체가 물속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2021.05.25
- 설사 등으로 고생하는 환자들(미국에서만 매년 수만 명이 죽는다)에게 건강한 사람의 똥을 이식해 장내미생물 균형을 되찾아 증상을 없애는 대변미생물총이식 방법이 소개됐을 때 생각이 난다. 얼핏 보면 21세기의 첨단 의료현장에 도입하기에는 너무 무식한 방법이라고 생각되지만 알고 보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생충과 건강수명2021.02.09
- 대안이 아닐까 싶다. 시골에 살던 어린 시절, 구충제를 먹고 난 뒤 동네 아이들이 싼 똥에 회충이나 요충이 꿈틀거리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 하다. 이런 광경이 사라진 게 꼭 좋은 일만은 아니라니, 정말 모든 일에는 대가가 따르나 보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과의 비교가 내 삶을 괴롭힐 때 ‘선 긋기’2021.01.23
- 있을 때도 있다. 하지만 삶에 실제적인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지금 이 생각은 ‘똥 같은 것’이라며 분명히 선을 긋는 것이 좋겠다. ※관련기사 Suls, J., Martin, R., & Wheeler, L. (2002). Social comparison: Why, with whom, and with what effec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1, 159-163. ※필자소개 ...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2020.12.13
- 없는 똥 덩어리에서 마지막 파르티잔이 쓸쓸하게 최후를 맞을 것이다. 오늘도 수많은 똥 덩어리에서 벌어지는 자연 현상이며, 인류 역사에서도 계속 반복된 이야기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인류학 및 진화의학을 강의하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줌의 재발견 2020.08.25
- 열량이 평균 175칼로리이므로 우리가 섭취한 열량의 10% 이상이 에너지로 쓰이지 못하고 똥오줌에 실려 몸 밖으로 나가는 셈이다. 런던대가 주축이 된 영국과 미국의 공동연구자들은 NMR(핵자기공명) 분석법을 이용해 소변에 포함된 음식의 대사산물을 한 번에 분석해 식단을 추측하는 방법을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