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다름
차이
d라이브러리
"
상이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쉽게 배제하지 못한 것이다.동양적 사고에서는 ‘모든 것이 서로 관련돼 있다’는 사
상이
강하기 때문에 어떤 요인이 다른 요인과 전혀 ‘무관하다’고 확신 있게 결론 내리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서양의 분석적 사고에서는 세상일은 비교적 단순한 규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로고를 볼 때는 과연 어떤 차이를 보일까. 명품 로고를 볼 때 참가자들의 뇌에서는 전대
상이
랑이 활성화됐다. 이곳은 눈에 보이는 여러 물체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사람들은 어떤 물체가 매우 크거나 색깔이 진하거나 모양이 특이할 때, 즉 시각적으로 ... ...
용액으로 만드는 거울의 마술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거울 사이에 물체를 놓으면 각 거울이 물체의 상을 반사시켜 거울 속에 반복적인
상이
만들어진다. 거울 여러개가 만드는 상의 개수는 360°를 거울 사이의 각도로 나눈 다음 1을 빼면 구할 수 있다.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만화경이다. 만화경은 안쪽면이 거울인 뿔이다. 평행하게 마주보는 3쌍의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렌즈라도 물체나 광원이 주축(主軸)위에 없고 렌즈에 대해 빛이 비스듬히 들어갈 경우는
상이
또렷하게 맺히지 않고 꼬리를 가진 혜성처럼 보인다 이를 코마수차 또는 혜성수차라 부른다일본 통산성이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절약기술개발 계획 고능률 가스터빈(78∼87년), 연료전지(80∼90년)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굵기 차이를 줄인 것이다. 이 렌즈로 만든 안경을 착용하면 눈이 작거나 커 보이는 현
상이
적어 미용 효과가 좋다.이 외에도 원적외선렌즈는 눈에 해로운 원적외선을 90% 이상 차단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와 충혈을 방지한다. 또 특수전도체로 코팅됐기 때문에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에서 나오는 ... ...
눈의 천적 자외선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방법이 없다. 한편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흰자위가 검은자위로 자라 들어가는 증
상이
생기기도 한다. 이는 군날개(익상편)라는 질병이다. 농부나 어부와 같이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이나 축구와 같은 실외 운동경기 선수에서 많이 발생한다.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하면 시력이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반사되는 빛 때문에 야행성 동물의 눈은 어둠 속에서 빛나보인다.야행성 동물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망막의 시세포도 사람과 다르게 구성돼 있다. 시세포는 막대 모양의 간상세포(rod)와 원뿔 모양의 원추세포(cone) 두가지가 있다. 간상세포는 명암을 구분하고 원추세포는 색깔을 구분하는 역할을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대부분의 사람들은 40대가 넘어서면서 신문을 보기 어려워진다. 또 먼 거리를 보다가 가까운 거리를 보면 초점이 빨리 맺히지 않는 증상을 경험한다. 이렇게 근거리 ... 따라서 각막을 부분마다 다른 두께로 깎아내면 먼 거리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의
상이
모두 망막에 잘맺히게 된다 ... ...
사이버 세계 수호하는 디지털 수사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아직 구체적인 법조문으로 규정된 바가 없어 각 수사기관이나 연구기관에 따라 조금씩
상이
함을 보인다. 앞으로는 형사법과 형사소송법, 민사법과 민사소송법 등과 같은 법조문에 사이버 범죄에 대한 구체적인 수사 절차법 등을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우리나라는 인터넷 보급률 1위라는 수치적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오늘날 더욱 심하게 분열된 과학과 인문학의 중간쯤에 위치한다. 때문에 그 학생은 이후
상이
한 두 문화를 맛보는 재미를 느꼈지만 동시에 언제나 둘 사이를 오가며 어디를 가도 비주류여야 했다. 그는 학문의 세분화가 점점 심화되던 20세기 중·후반의 거센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와 같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