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다름
차이
d라이브러리
"
상이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몸 속에 들어가 목표가 되는 단백질과 작용해 원하는 약효를 보인다. 하지만 그 거울
상이
원치 않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실례로 ‘탈리도마이드’라는 약은 1970년대 초에 개발된 신경안정제로, 그 중 D-형에만 약효가 있고, L-형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사실이 나중에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시작된 노벨상은 한세기가 지나면서 이제는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상이
됐다.노벨
상이
권위가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가지 해석이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수상자들의 업적이 세계 최고라 할 정도로 훌륭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벨상을 수상한 업적이라고 해서 모두 훌륭한 것은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간단히 검사하고자 한다면 렌즈를 멀리 든 채 렌즈를 이동해가며 주위를 보았을 때 이
상이
있나를 보면 된다.자외선 차단은 꼭 확인한다. 테에 렌즈를 끼우기 전에 렌즈에 부착된 라벨을 보거나 안경점에 설치된 자외선 차단율 기기로 확인해야 한다. 물론 안경사에게 물어보면 친절히 답변해줄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김 신부의 얼굴이 실제 모습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복원
상이
한국인 자료를 토대로 제작된 최초의 얼굴복원이며 현재까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최선의 결과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지금 조사중인 한국인 자료가 더욱 보강되고 직접 김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통해 6만배 정도 적절히 증배되고 이후 형광면에서 다시 황록색의 빛으로 바뀌어 선명한
상이
얻어진다.전하결합소자(CCD)라는 이미지센서도 놀라운 능력을 갖는다. CCD는 광자를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빛에 민감한 물질을 실리콘칩 위에 입혀서 사용하는 집적회로의 한종류로, 보통 화소라고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시각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위치가 다른 사물은 눈의 망막에서 다른 곳에
상이
맺히며 이 신호를 처리하는 신경세포도 다르다. 반면 귀는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 귀에 들어온 소리의 차이로만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위치를 찾는 데는 눈이 더 뛰어나다. 인간의 대뇌 피질의 약 1010개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점점 뜨거워지고 과연 이 대회의 최고
상이
무엇인지가 궁금해졌다. 참가 학생들은 시
상이
끝나갈수록 더욱 들떴고, 수상자들에게 기립박수를 보냈다.특별상에서 이미 4차례나 수상했던 라이언 패터슨은 이날도 역시 주인공이었다. 그는 본상 시상식에서도 4차례 수상해 상금만도 5만8천달러를 손에 ... ...
우주를 향한 청소년들의 대축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고등부의 경우 심사기준은 발사 이후 로켓의 고도가 20m 이
상이
어야 비행으로 인정받았다. 로켓이 흔들림 없이 곧바로 올라가는지에 대한 비행안정성이 심사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밖에 낙하 안정도, 로켓 조립완성도와 창작성 등이 평가됐다.‘과학은 신나고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렌즈인 수정체는 보고자 하는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두께를 조절해 망막에 정확한
상이
맺히도록 한다. 망막은 눈을 통과한 빛이 최종적으로 맺는 눈의 가장 뒤쪽 부분인데, 감지된 신호를 시신경을 통해 대뇌로 보낸다.이렇게 복잡한 눈의 구조를 모방한 대표적인 센서가 영상 카메라다. 흔히 볼 수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시력은 지독히 근시다. 결국 곤충이 겹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모자이크 같이 엉성한 세
상이
다.곤충의 눈이 물체의 모양을 감지하는데 서투르다고 해도, 그들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모자이크 세상에서 움직이는 물체는 그 움직임이 더욱 과장돼 보이기 때문에 어떤 움직임도 놓치지 않는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