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결
경화
동결
불휘발성화
d라이브러리
"
응고
"(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9 초합금 극한상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응고
점은 감마프라임상보다 높기 때문에
응고
된 합금은 감마상의 덩어리이다. 이
응고
상태의 것을 더욱 냉각시키면 미세한 입방체상(立方體狀)의 감마프라임이 감마모재 주위에 형성되기 시작한다. 최근 수년간 니켈·알루미늄 초합금에 대한 금속학자들의 관심을 크게 끈 움직임이 있었다. 순(純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결정이 발견되는데, 이 형(形)은 다(多)성분의 재료가
응고
할 때 어느 한 상(相)이 먼저
응고
하기 때문에 생긴다. '덴드라이트'의 간격은 냉각속도가 빨라질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냉각속도가 초당 1백만℃~1억℃에 이르게 되면 분리상(分離相)의 형성은 완전히 억제되고 그 대신 단일상(單一相)으로 된 ... ...
PART4 인체를 닮아가는 인공장기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과거에 스테인리스나 실리콘고무를 썼는데 내구성은 있지만 피가 엉기는 것을 막는 항
응고
요법이 필요했다. 최근에는 기계적인 강도와 혈액적합성을 겸비한 열분해 탄소가 판의 재료로 쓰이고 있다. 얼마전 화제가 됐던 '자빅7' 인공심장에도 이것이 채택되었다. 혈액을 심장에서 모아 대동맥으로 ... ...
원시지구의 마그마는 바위도 녹이는 초고압 초고온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사용하여 원시지구의 마그마(Magma·지구내부에서 고온상태로 유동하는 물질. 냉각
응고
되면 화성암이 된다) 바다 모델 실험에 성공했다.연구팀은 감람암(감람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을 여러가지 온도와 압력으로 녹여보았다. 감람암은 지각과 코아(Core·지구중심부의핵)의 사이에 있는 두께 약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있다. 그는 DNA 조환방법으로 혈전증 치료제인 조직플라스미노겐활성제(TPA : 혈액
응고
를 분해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물질)를 만드는 길을 트고 있다. 그러나 그의 가장 큰 관심은 DNA조환을 통한 암의 해명이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향으로 눈을 돌리는 뛰어난 직관력을 가진 왓슨은 암의 바이러스 ... ...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출혈의 위험이 따르므로 숙련된 사람이 다루어야만 한다.이밖에 내시경을 통한 전기
응고
법으로 궤양이나 미란성(靡爛性) 위염 등으로 인한 출혈 등을 치유할 수가 있다. 전류를 통하게 해서 출혈부위의 온도를 섭씨1백40~1백50도 정도로 높여주면 지혈이 된다.□기관지내시경의 활용.기관지경 ... ...
난치병, 앞으로 쉽게 치료될지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잘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발병한다. 이런 경우 성장 호르몬 생산유전자나 혈액
응고
인자, 생산 유전자를 피부세포에 넣어 다시 환자에게 이식하여 치료한다는 것.현재 쥐를 사용하여 실험중인데 성공하면 당뇨병 등 같이 상시투약이 필요한 만성질환의 새 치료법으로 응용될 수도 있을지 모른다 ... ...
신금속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하는 것이다. 예컨대 금속을 녹여서 굳힐 때 초당 10만~1백만℃의 초고속으로 급냉·
응고
시킴으로써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비정질(非晶質) 구조를 갖게 하는 특수 제조 방법이 있다. 비정질 즉 아몰포스(Armorphous) 상태가 되면, 보통 결정질 재료가 갖지 않는 새로운 특성을 갖게 되므로 신금속 ... ...
미생물이 만드는 화학제품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과당으로 전환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치이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젖산
응고
효소(rennin)와 펙틴 분해 효소(pectinase), 지방 분해 효소(lipase), 기타 의약, 실험용 효소 등이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미생물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유기산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초산(acetic ... ...
심장에서 관절, 치아까지 인공장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테플론 등으로 제품이 만들어져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보다 작은 혈관은 혈액의
응고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아 시험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따라서 학자들은 혈액융화성이 높은 재료개발 및 혈관응용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의 김영하교수가 인공혈관 재료의 개발에 ... ...
이전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