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증
초록
발췌
흉내
모방
시늉
d라이브러리
"
인용
"(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정약전은 이 방법으로 밝혀내지 못한 어류의 생태에 대해서는 다른 전문가의 견해를
인용
했다. 물론 자산어보에도 오류가 적지 않다. 정약전이 내안상어로 분류한 생물은 물을 뿜는다는 서술로 볼때 범고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는 고래를 어류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자산어보에 들인 ...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 그림자를 측정한다.사계절 별자리 투영기손과머리 | 7000원별자리를 공부할 수 있는 1
인용
플라네타리움을 만들자. 계절에 따라 별자리 선이 있는 것과 없는 것 2종류씩 총 8장의 필름이 들어 있다. 우드락으로 만든 몸체를 접어 끼운 뒤필름을 LED 전구로 비춰 관찰한다. 어두운 곳에서 벽을 향해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양포리 앞바다의 방아섬에서 필자가 발견했다.이 화석에 대한 연구결과는 2002년 SCI(과학
인용
색인) 국제학술지 ‘커런트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이 화석은 익룡 앞발의 네 번째 발가락 중 첫 번째 마디가 분명하고, 뼈의 형태와 크기로 볼 때 백악기 초기에 중국에서 번성했던 쭝가리테립스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 스티븐 핑커방금 세계적인 언어학자인 미국 하버드대 스티븐 핑커 교수의 말을
인용
하기 위해 키보드의 글자판을 130번 두드렸다. 시간은 수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아마도 기자의 뇌에는 이미 자판의 배열을 인식하는 신경회로가 배치돼 있어 자음과 모음을 0.1초도 안 되는 미묘한 시간차이로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스티브 플루더 제너럴 일렉트릭(GE) 부사장의 말을
인용
해“스마트 그리드를 활용하면 미국에서 41GW(기가와트,1GW=109W)의 전력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대형 원자력 발전소 1기의 발전량이 보통 1GW인 것으로 감안하면 스마트 그리드의 엄청난 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진화과정’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다루는 거의 모든 논문에서 빼놓지 않고
인용
될 정도로 영향력 있는 책이다.‘유전자만이 아니다’는 보이드와 리처슨이 바로 거기서 담았던 내용을 이제 일반 독자들에게도 좀 더 쉽게 전달하려는 시도의 산물이다.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우리가 ... ...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남녀 성비가 거의 대등하다. 과학기술논문
인용
색인(SCI) 학술지뿐만 아니라 사회과학논문
인용
색인(SSCI) 학술지에도 많은 논문을 게재한다. 딱딱함 보다는 부드러움, 기술에만 치우친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보다는 기술과 경영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generalist)를 지향하는 곳이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교수는 “바이러스가 춥고 건조한 기후에서 가장 안정하다는 1960년 논문이 여전히
인용
되고 있다”며 “겨울철에는 온도와 습도를 여름과 같이 해줘도 실험동물이 독감에 더 잘 걸린다”고 설명했다. 플루 바이러스의 온상이 1년 내내 고온다습한 열대지역이라는 점도 온도 가설로는 설명하기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자기 논문이
인용
되는 사례가 많다”며“조사할 때마다 연구단의 논문이 평균 약 20편씩
인용
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이런 덕분일까. 지난해 서울대 자체 조사결과에 따르면 연구단은 의대를 포함한 서울대 이공계 전체 학과에서 SCI논문을 3번째로 많이 내는 연구실로 선정됐다.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 영향력지수는 2년 동안 학술저널에 실린 논문이 이듬해에 평균 몇 번이나 다른 논문에
인용
됐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지수가 높을수록 논문과 저널의 영향력이 크다는 뜻이다. 네이처나 사이언스 같은 세계 최고 저널의 경우 영향력지수가 30에 이른다.남 교수는 “아직까지 학계 전반에 IBC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