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증
초록
발췌
흉내
모방
시늉
d라이브러리
"
인용
"(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사이언스 특집기사’를 포함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횟수는 110건이 넘고 피
인용
횟수는 1600회에 이른다. 세계 여기저기서 쏟아져 들어오는 강연 요청에 이 단장은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란다. 이 단장은 국제 학술회의의 기조강연과 초청강연을 최근 3년 동안 30회 이상 맡았다. 나노조립체 분야를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권 교수에게 “권 교수팀의 ‘네이처 머티리얼스’ 논문이 우리가 발표한 연구의 특허를
인용
하지 않았다”며 의문을 표했다.도일 교수팀이 지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한 논문은 흐르는 유체 안에서 같은 종류의 미세 입자를 만드는 내용이었다. 권 교수는 이를 한 단계 발전시켜 종류에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태음인과 소음인의 이런 차이가 유전적으로 확인된다면 머지않아 약국에 가서 ‘태음
인용
감기약 주세요’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나올지도 모른다.분위기는 매우 희망적이다. 최근 연구팀이 비만 환자들의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비만에 관련된 유전자 마커들이 태음인과 소음인에서 서로 ... ...
대한민국 1% 과학영재 되는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프로그램에 열심히 참여하고 국제학회에서 자신의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SCI(과학기술논문
인용
색인)급 저널에 논문도 내고 있다.KSA는 내년부터 KAIST 부설학교로 전환되면서 KAIST에서 인적, 물적 지원을 받으며 교육과정도 KAIST 학사과정과 연계할 예정이다. 특히 KAIST를 거쳐 석·박사 과정을 마치려는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크기인 쥐보다 더 오래 살까. 윌리엄스는 7년을 산 박쥐를 포획해 보고한 1954년 논문을
인용
하고 있다. 쥐의 수명이 2년 내외이므로 훨씬 긴 셈이다. 거북이가 100년이 넘게 사는 이유도 단단한 갑옷을 둘러 잡아먹힐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결국 생식능력과 생존율을 곱한 값인 생식 확률이 어느 선을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차갑거나 따뜻할 수’ 있으며 ‘달콤한’ 말은 도대체 몇 헤르츠란 말인가. 굳이 시를
인용
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쓰는 말에는 이처럼 은유가 넘쳐 난다. 은유란 다른 것에서 비슷한 점을 간파하는 능력이다. 나에게 잘 대해주는 사람에게 느끼는 감정은 따뜻하고 포근한 잠자리에 들어갔을 때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논문을 게재했다. 그리고 9년 뒤인 올해 2월 이 논문은 총
인용
지수 200회를 돌파하며 원자선 연구의 효시로 인정받았다. ‘원자 부대’, 일렬종대로 헤쳐모여!어떻게 원자를 한 줄로 늘어세울까.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원자 하나하나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이다.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르렀다. 과산화수소의 신호전달을 연구한 이 교수팀의 논문은 현재 1000회 이상
인용
됐고 최근 이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관련 연구자와 논문이 급증하고 있다.이화여대에 자리 잡은 이 교수 역시 ‘세포신호전달계 바이오의약 연구센터’를 세워 후속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 분야의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그동안 과학기술논문
인용
색인(SCI) 저널에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이들 논문의 총
인용
횟수는 2000회가 넘는다. 2005년 그는 반도체 양자우물 레이저 이론과 양자정보통신 연구에 기여한 업적을 인정받아 ‘미국전기전자학회 석학회원’(IEEE Fellow)으로 선정됐다. 물론 양자컴퓨터 연구만큼이나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신호가 어떻게 대뇌피질에 전달돼 해석되는지를 규명한 내용이다. 지금까지 138회나
인용
됐을 만큼 화제가 됐다. 벅 박사는 철회를 하게 된 이유에 대해 “이 연구를 반복하고 확장하는 실험에서 결과가 재현되지 않았다”며 “이 과정에서 원래 데이터와 논문에 실린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