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상"(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2 지상에서 우주 탐사 따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깊은 바다에서 무중력 공간을 대비한 훈련을 하는 거구나. 우주비행사가 된다면 그깟 물쯤이야, 충분히 이겨낼 수 있어! 다음 도전 과제는 고…, 립? 벌써 두려워지는 걸…. 두 달 동안 누워만 있을 수 있나요?지난 3월, NASA와 ESA가 함께 2달 여 동안의 실험에 참가할 사람을 모집했어요. 실험에 참가 ... ...
- [탐험대학] 하루종일 탐험, 우리는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20m 상공에 띄워 보았답니다.“와! 위성에 찍힌 우리 얼굴이 컴퓨터에 나와요!”캔샛이 지상 노트북과 통신하는 것을 확인하며 하루종일 우주 탐험도 막을 내렸어요. 정동건 학생(수원 망포중)은 “탐사 후 미션으로 스마트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상관측용 캔샛을 구상해 보았다”며, “큰 위성과 ... ...
- [쇼킹사이언스] UFO의 침공?! 로켓이 만든 인공 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아주 높은 대기층에서 나타나요. 그동안 오로라를 연구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대부분 지상에 있는 관측 기기로 9~100km 높이에 있는 입자의 흐름을 관측해 왔어요. 하지만 워낙 높이가 높다 보니 관측값이 정확하지 않은 것이 문제로 꼽혔죠.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오로라가 자주 나타나는 북유럽 ... ...
- [과학뉴스] 우주를 여행하는 돛단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불과해요. 약 한 달간 자세를 잡고 카메라 테스트 등 성능 점검을 마친 라이트세일2호는 지상의 관제소의 명령에 따라 36m² 크기의 돛을 펼쳤어요. 본체에 장착된 모터로 위성 내부에 감겨 있던 4m 길이의 뼈대 4개를 사방으로 펼친 후 돛을 꺼냈지요. 그리고 지난 8월 1일에는 태양 빛을 이용해 고도를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사대 시설 등 지상 지원 장비들도 3일 동안 연속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지상시설 장비는 3일간은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복병을 만났다. 나로호에 공급하는 공기를 고압으로 만들고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공급하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중력 환경에서는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는데, 무중력 환경에서의 수면이 지상과 어떻게 다른지, 멜라토닌 복용이 수면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지 연구했다. 이 연구는 2008년 내가 우주 비행 임무를 수행할 때에도 NASA의 요청에 따라 실험에 참여했을 만큼 장기 연구로 진행됐다. 두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표했다. doi: 10.1038/srep06365 분석 결과 지렁이는 작물 생산량을 평균 25%, 나무 등 지상 생물량을 평균 2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렁이가 토양 유기물을 흡수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이온 형태로 질소 무기질을 만들고 이를 통해 작물 수확량을 늘린 것이다. 질소는 ‘광합성 공장’이라고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려가 있는 근지구소행성 상당수를 왜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소행성은 보통 지상의 광학망원경으로 관측해요. 별과 달리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소행성에 반사된 빛으로 관측하지요. 반사된 빛의 양이 적어 어두운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어요. 안 그래도 반사된 빛의 양이 적은데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동결건조법으로 제조된다.우주에 올라갈 때 무게는 곧 비용이다. 예를 들어 1kg의 물체를 지상 약 300km에 위치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내기 위해서는 수천 만 원이 든다. 그래서 무조건 무게를 줄이는 게 유리하다. 며칠치 식량을 지고 행군해야 하는 군인의 전투식량도 마찬가지다. 동결건조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표했다. doi: 10.1038/srep06365 분석 결과 지렁이는 작물 생산량을 평균 25%, 나무 등 지상 생물량을 평균 2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렁이가 토양 유기물을 흡수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이온 형태로 질소 무기질을 만들고 이를 통해 작물 수확량을 늘린 것이다. 질소는 ‘광합성 공장’이라고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