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도
땅굴
굴
토굴
지하
tunnel
구멍
d라이브러리
"
터널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형 태양광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가 있다.▒ 정답은? 태양광 자동차다. 만약 당신이 태양광 자동차를 몰고 있다면 남산 1호
터널
을 지나면서 혼잡통행료 2000원을 내려고 지갑을 꺼낼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문제에 나온 1종 저공해자동차는 환경부가 만든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서 정의한 것이다. 환경부 ... ...
돔구장은 홈런공장?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생성 과정1. 부 공기 도입구로 바람이 들어온다.2. 경기장 지하에 매설된 써멀
터널
(thermal tunnel)을 지나며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토양에 열을 뺏겨 차가워지고(여름), 차가운 공기는 지열을 받아 따뜻해진다 (겨울).3. 관중들의 체온과 그라운드가 흡수한 태양 복사에너지를 받아 뜨거워진 공기는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전자관을 대신하는 각종 반도체 소자가 출현하는 실마리를 열었으며 특히 트랜지스터 ·
터널
(에사키) 다이오드의 발명에 직접 기여했다게르마늄산염게르만의 GeH4의 H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基) · 알릴기 · 할로겐 등으로 치환된 것1789~1854 독일의 물리학자 전류 저항과 관련한 「옴의 법칙」의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파랑새를 쫓기 시작했다.인간은 중세와 근대를 거치면서 쾌락을 금기시하는 길고 어두운
터널
을 지나왔고, 이런 역사적 사실은 라세 할스트롬 감독의 영화 ‘초콜릿’의 진한 향기에도 살짝 녹아 있다. 보고 나면 초콜릿이 간절히 먹고 싶어지는 이 영화는 혀 끝 뿐 아니라 마음까지 따뜻하게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날카롭게 우는 뿔호반새는 경계심이 무척 강하다. 주로 물가의 언덕이나 흙벽 속에
터널
을 파서 둥지를 짓는데, 자신의 영역을 철저히 지키고 사람의 접근도 허락하지 않는다. 주변 환경이 조금이라도 변하면 미련 없이 정든 둥지를 떠난다. 이런 예민한 성격 탓에 뿔호반새는 급속한 산업화의 가장 ... ...
노벨상은 내 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지나 신비한 DNA
터널
로 들어 왔어요. 이중나선으로 멋지게 꼬인 아름다운
터널
이랍니다.
터널
을 지나면 어느새 커다란 세포 속이에요. 현미경으로 봐야만 겨우 보이는 세포 속에 우리가 들어왔다니! 세포 속에 다양한 일을 하는 기관들도 하나하나 살펴볼 수 있어요.이제 호르몬 열차를 타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속으로1917년 12월 16일 SF 작가 아서 클라크 출생‘우주전쟁’을 쓴 허버트 웰스 이후 영국이 낳은 가장 뛰어난 SF 작가 ...
터널
을 뚫을지, 해저 지각 위에 거대한 관모양의
터널
을 놓을지 결정될 것이 다. 해저
터널
을 지을 때 바다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 ... ...
LG사이언스홀로 떠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떼는 순간! 먼저 우리 이름과 얼굴이 들어간 ID 카드를 만들었어. 미래로 가는 신비로운
터널
을 통과해 에너지관에 도착하자 지구의 탄생과 화석 연료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눈앞에 펼쳐졌어.지구온난화로 괴로워하는 지구의 미래는 우리가 지킨다! 태양열과 바람으로 만든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면 ...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점심 식사를 건너뛰기 일쑤였다. 공영방송사 모두 생방송을 예고했다. 한일 간에 해저
터널
을 뚫기로 합의를 보았다는 풍문이 일본 총리의 입국 전부터 파다하게 퍼졌다.겨우 정신을 차리고 침대에 앉으니, 래빗과 일본 총리 다나카가 기자회견장으로 나란히 들어왔다. 두 정상은 회담 성공을 ... ...
대한민국 안전을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최근 10년 동안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는 보수공사가 부쩍 많아졌다. 동시에 도로, 교량,
터널
같은 공공시설물 붕괴에 따른 대형 인명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어쩌면 우리는 이미 ‘안전’그룹이 높인 ‘삶의 질’을 누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