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요
잔물결
진동
wave
물결
파도
d라이브러리
"
파동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영법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단순한 사인 곡선 형태라는 것이 밝혀졌어. 연구팀은 이
파동
이 사막의 모래와 같은 조건에서 가장 적은 힘으로 멀리 나갈 수 있는 최적화된 운동이라고 설명하더라.훗! 우리 삽코도마뱀들이 모래 속에서 최소한의 마찰을 받으며 쉽게 지나가기 위해 개발한 ‘사인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궤도라는 개념의 철폐를 이론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파동
역학은 입자 대신
파동
을 중심에 두는 것이므로 궤도라는 개념이 아예 불필요하다.양자역학의 탄생 이후 보어의 원자모형은 소명을 다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이제 더 이상 물리학자들은 원자핵의 주위를 도는 전자의 궤도를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색띠에 ‘스펙트럼’이란 이름을 붙여 주었다. 19세기 동안 빛의 색은 빛의 본질인 전자기
파동
의 파장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빨간색은 보라색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다. 19세기 초에는 빛띠에 가느다란 검은 선(흡수선)이 있다는 것이 발견됐는데, 니콜슨의 논문은 그 검은 선들의 파장을 다루고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된단다. 시간을 줄이면 공간이 늘어나고 힘을 키우면 무게가 줄어들고 입자를 뒤집으면
파동
이 생겨난다. 그 이치를 아직도 모르겠느냐?”원숭이는 이마를 잔뜩 찌푸리고 볼과 턱을 곰곰이 긁으며 생각에 잠겼다. 손톱 끝에 걸리는 것이 있으면 잠시 쳐다보다 다른 손가락으로 튕겼다. 시간과 공간이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라지지 않았다는 게 우리의 잠정적 결론이 었다. 전 우주에 퍼져 있는 희미한 웜홀의
파동
에 올라타서 눈을 열여덟 번 깜빡거리고 나면 은하 하나를 가로지를 수 있건만 아직도 그런 점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것이다.“네 이름은 미로야. 노이드 진화선의 미로. 노이드 미로가 네 이름이야.”나는 ... ...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양수로 결정 실험을 한 결과를 책으로 냈습니다. 나아가 사랑의
파동
을 전해 사랑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분만을 한다고 합니다. 이 의사는 이렇게 태어난 아기가 훌륭하게 자란다고 주장합니다.사랑수를 이용해서 분만하는 게 나쁠 이유는 없습니다. 하지만 좋은 뜻으로 ...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에너지
파동
을 따라 흐른다”고 원리를 설명합니다. 누누이 얘기하듯이 ‘에너지’, ‘
파동
’ 같은 건 사기꾼이나 사이비 과학자들이 아무렇게나 잘 갖다 붙이는 단어입니다. 또 어떤 사람은 동물의 몸에 흐르는 전류와 주파수를 맞춰서 교감을 한다고 합니다. 특히 심장에 주목한다고 하더군요.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하나씩 따져봅시다. 일단 수맥파. 세상에 그런 거 없습니다. 지난 회에서 이야기했듯이 ‘
파동
’은 사기꾼이 많이 갖다 쓰는 ‘과학스러워’ 보이는 단어입니다. 다우징으로 수맥을 찾는다는 주장도 입증된 게 없습니다. 1987~1988년에 한스-디어터 베츠라는 독일 과학자가 다우징 기술자 500명 중에서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인공적으로 만들면 따뜻한 공기를 찬 바닥까지 내보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소리의
파동
을 이용해 보텍스 링을 만드는 장치를 고안했다. 이 장치를 천장에 설치했더니 실제로 교실 바닥 온도가 4℃나 올랐다. 이들은 부문별 4등상을 수상했다.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김아현 양은 “과학이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흔적도 천문학계의 지축을 뒤흔들 폭탄이다. 송용선 박사는 “플랑크에는 전자기파의
파동
방향(편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데, 만약 편광이 온도처럼 비균질한 것으로 나타나면 급팽창 이론을 처음으로 직접 증명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우주론에 따르면 급팽창은 중력파에 의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