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요
잔물결
진동
wave
물결
파도
d라이브러리
"
파동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하나의 소리굽쇠에 소리를 울린 후 또다른 소리굽쇠를 주위에 놓으면 소리가 발생시키는
파동
을 공유하며 같이 울리는 원리다. 동일 주파수를 인식하는 코일 설계 기술이 매우 어렵다. 자기 공명 원리를 이용한 무선 충전을 상용화하면 전원을 연결하지 않아도 TV를 켤 수 있다. 거실 벽에 무선 전력 ... ...
어린이 과학동아가 과학으로 바꾼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표현한 것 같군. 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질이 가속할 때 시간과 공간을 모두 지나가는
파동
인데…. 자네가 만든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시작돼 아직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네. ▲ 아인슈타인의 블랙홀 ‘과학자가 바꾼 세상’은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연재됐던 만화 ‘꿈꾸는 아인슈타인’과 ... ...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음파가 곡선 궤적으로 따라 진행한다. 굴곡이 매끄럽고 급하게 꺾이는 부분이 없어서
파동
이 반사하지 않는 한 직선 형태의 관악기처럼 다룰 수 있다.관악기가 내는 음은 악기의 길이와 관계가 있다. 진동수가 공기 중 소리의 속도(초속 344m)에 비례하고 악기 길이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악기의 ... ...
한 번 울린 노래도 다시 주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그렇지는 않지요. 사람의 음성은 공기를 따라 이동하는
파동
이에요. 한 번 공기에 실린
파동
은 에너지가 사라지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아요. 또 녹음기를 이용하면 소리를 담아놓고 몇 번이고 다시 재생할 수 있답니다.녹음기는 120여 년 전 ‘발명왕’ 에디슨이 처음 만들었어요. 음파를 커다란 ... ...
소리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라디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파도가 바로
파동
이랍니다. 소리 역시 공기나 물 같은 매질 속에서 이동하는
파동
이지요.
파동
이 일정 시간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해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 범위를 ‘가청주파수’라고 하는데, 이 주파수는 너무 낮아서 멀리까지 이동하기 어려워요. 이 때문에 방송국에서는 음성 ... ...
물리 - 입자와
파동
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미시 세계 입자들은 일상적으로 만나는 물체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행동한다.
파동
도 아니고, 그렇다고 입자처럼 행동하지도 않는다. 지금까지 봐오던 그 어떤 것과도 닮은 점이 없는 이유! 이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법칙이 다르기 때문이다.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냈다.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것은 ‘다중세계’ 해석이다. 이 이론은 관측 행위가
파동
함수를 깨뜨려 양자의 상태를 결정짓는 것이 아니라 관측과 동시에 각각의 사건이 존재하는 세계로 세계 자체가 갈라진다는 해석이다. 다시 말하면 관측을 하는 순간 세계는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살아 있는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파동
단원은 5문제 정도가 출제된다. 2문제 정도는 정답률이 30%미만인 어려운 문제다.
파동
에서는 주로 개념에 관계된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빛에서는 9월 모의 평가 15번 문제처럼 전반사와 관련해서 굴절의 법칙을 응용하는 어려운 문제가 자주 나온다. 또한 빛과 물질의 이중성은 광전효과의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은하가 존재하는 곳은 골짜기처럼 시공간이 휘어진다. 그런데 양자역학에서는 서로 다른
파동
을 더할 수 있다고 본다. 시공간을 더할 수 있을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남은 문제 우주 이해는 이제 시작흔히 초끈이론이 중력의 양자화에 성공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오늘도 발전 중”양자역학은 1913년 보어의 원자모형에서 1928년 폴 디랙의 상대론적
파동
방정식에 이르기까지 원자구조 연구, 즉 원자핵 주변의 전자배치와 상태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됐다. 원자구조에 따라 고유한 스펙트럼선의 파장과 세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양자역학은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