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요
잔물결
진동
wave
물결
파도
d라이브러리
"
파동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만든 추를 긴 실에 매달아 직접 수심을 재고 기록했어요. 그러다 20세기에 들어소리의
파동
인 음파가 물속에서 잘 전달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음파를 이용해 수심을 측정하기 시작했답니다. 1초에 1500m를 움직이는 초음파를 바다 밑으로 발사한 후, 해양지각에 반사돼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접목해 오늘날 양자 화학의기본 규칙을 완성했다. 원자가 결합할 때 각 원자의 양자
파동
이 서로 영향을 줘서 겹친다는 ‘원자가결합이론’이다. 이전에 적용되던 어설프고 복잡한 법칙들은 폴링 덕분에 모조리 쓰레기통에 들어 갔다. 그 밖에 광물이나 금속 등 무기 물질의 구조를 밝히는 등 여러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해 공진을 일으키는 과정이다. 레이저는 광학적 공진을 이용한다. 레이저는 파장이 같은
파동
이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 진동하는 빛이다. 레이저를 만드는 데는 광공진기가 쓰인다. 우주에서도 공진이 일어난다. 태양계의 일부 행성이나 위성은 공전주기가 정수비를 이룬다. 행성이나 위성끼리는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과학은 깊이 들어갈수록 ‘1+1=2’처럼 딱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빛이
파동
이며 입자이듯 말이다. 특히 의학은 인체 안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연구하기 때문에 결과가 자주 바뀐다.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물리 공간(in vitro)이 아닌 체내 환경(in vivo)에서 이루어진다는 특수성 때문이다.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파고가 10m일 때는 36km 정도다. 하지만 지진해일파의 속도는 지형의 형태나 높이,
파동
이 들어오는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번처럼 자동차가 전속력으로 달려도 따라잡힐 정도로 빠르게 진입하기도 한다. 홍성진 국립방재연구소 연구원은 연안에서 해일을 목격한 다음에 뛰어서 대피하기란 거의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홍수 같은 자연재해를 막는 데 수학연구가 한몫을 한다. 하지만‘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라는 말처럼 아무리 좋은 수학연구가 있어도 몰라서 쓰지 못하 ... 나선 이유다.* 중력파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움직일 때 나오는
파동
.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결국 물리학과 과학에 대한 애정에서 나온 비판이다.“첫눈에 이것(복소수가 사용된 입자
파동
식)은 물리학에게는 망한 설명으로 보인다. 관찰할 수 없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얼마나 슬프고 얼마나 쓸모 없는 일인가. 물리학은 이제 끝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끝난 게 아니라 물리학의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론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는 양자역학을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불리는
파동
역학으로 기술했다. 당시 무명의 신참 학자였던 디랙은 ‘변환이론’을 고안해 이들 두 방정식이 결국 같은 내용을 다르게 표현할 뿐이라는 걸 증명해 일약 스타가 됐다.그 뒤 디랙은 독자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전자가 진동해 만들어내는 전자기파다. 그리고 전기장과 자기장의 주기적인 진동에 의한
파동
이다. 전기장의 진동방향이 편광의 진동방향이 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백열등, 형광등 및 아크등의 빛은 편광이 아니다. 왜냐하면 빛을 만들어내는 전하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진동하지 않고, 각각의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걸린다. 칠레 지진처럼 규모 8이 넘는 지진의 응력은 지구를 3바퀴 돌아도 지진파의
파동
이 살아 있을 정도로 크다. 만일 큰 지진에서 발생한 응력이 지반이 약한 곳이나 응력이 쌓여 있던 곳에 도달하면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이런 이유로 “큰 지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