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도
감성
섬세
민감
뉴스
"
민감도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음식쓰레기·재활용품도 구분…복잡한 인간 촉각 모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이 빵을 집어 들어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하고 있다. Applied Physics Reviews 제공. 인간의 피부는 매우 우수한 ‘촉각 센서’다. 복잡한 인간 촉각을 모방해 음식쓰레기, 재활용품 등을 높은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됐다. 롱 주 중국 칭화대 정밀기기·기계공학과 교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띄게 된다. 이를 우주론적 적색편이라고 한다. 기존 어떤 우주 망원경보다도 높은 적외선
민감도
를 가진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이 적색편이를 관측하는 데 최적화됐다. 이번 연구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이같은 장점을 우주망원경 첨단외은하조사(JAD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 ...
수면 방해하는 코골이, 집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이 개발한 수면무호흡증 진단기기. 스마트폰 앱(APP)과 연동하면 간단하게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다. UNIST 제공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해 간편하게 수면무호흡증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변영재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벌새가 꽃의 꿀을 빨아먹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1초에 최대 90번의 날갯짓을 하는 벌새는 시속 90km의 속도로 비행한다. 벌새가 이토록 빠르게 움직이면서도 꽃에 부딪치지 않은 채 꿀을 빠는 정교한 비행을 할 수 있는지는 그간 학계의 관심사였다. 비행하는 벌새의 뇌는 특수한 3차원(3D) 지도를 ... ...
첨단기기 '눈' 역할 적외선 센서용 고품질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이상준 책임연구원이 단파장 적외선 센서용 반도체의 광 흡수층과 기판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메타모픽' 구조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고 있다. KRISS 제공 단파장 적외선(SWIR) 센서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선명한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연기나 안개를 잘 투과해 자율주행 차량이나 스마트팜 카 ... ...
하늘 위의 포식자 독수리 눈 닮은 카메라…"자외선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움직이는 먹잇감을 포착하는 독수리의 눈을 닮은 새로운 카메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대형 나노입자 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새 눈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물체 감지 특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세관에 쌓여있는 직구물품. 연합뉴스 제공 이(뉴욕/뉴어크) 항구에서는 엄청난 양의 위조품이 목격된다. 가짜 장난감과 아동복이 특히 위험하다. 가연성이나 질식 위험이 있거나 납 성분으로 가득 차 있어서다. - 올든 위커, '우리는 매일 죽음을 입는다'에서 관습적으로 쓰는 말도 막상 그런 상황을 ... ...
'탄소 저장소' 툰드라, 기온 상승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캐나다 캠브리지베이 지역에서 토양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제공 기후변화로 따뜻해진 툰드라 지역이 기후변화를 더욱 부추기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결과는 전 세계 툰드라 지역의 기온 상승과 탄소 배출량 증가 간 관계를 입증하고 배출량을 결정하 ... ...
뇌 신경망 본딴 소자로 만든 차세대 '전자 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후각 수용체 3종을 뉴로모픽 소자에 도입했다. 후각 수용체 덕분에 다양한 냄새 물질에
민감도
가 높았다. 뉴로모픽 소자는 인공 신경망 학습을 통해 수용체에서 전달받은 냄새 정보의 패턴을 인지하고 미지의 냄새를 추론할 수 있다. 여러 냄새 물질을 분자 길이 수준에서 분별하고 물질들이 섞인 ... ...
온실가스 주범 메탄·아산화질소, 동시 제거 습지미생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환경생태계에서의 단일 미생물에 의한 메탄산화 및 아산화질소환원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주요 주요 온실가스인 메탄(CH4) 과 아산화질소(N2O)를 동시에 분해하는 습지 미생물을 발견했다. 유전체 분석을 통해 이 미생물이 저산소 환경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도 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