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도
감성
섬세
민감
뉴스
"
민감도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과의 공동연구, 선진국에 돈 퍼주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26일 채소룡 미국 신시내티대 교수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JEJU)에서 열린 대한화학공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인터뷰 질문에 응답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자협회 제공 "현재 국제공동연구에서 가장 바람직한 파트너는 미국입니다. 오랫동안 쌓아온 우호적인 관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기 어려운 수준 ... ...
땅 속 고압 아닌 1기압에서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있는 '실리콘 공극 컬러 센터' 구조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 구조가 자기장에 대한
민감도
가 높고 양자적인 특성을 보여 매우 작은 자기 센서 개발이나 양자컴퓨터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다양한 성장 조건에서 만든 다이아몬드. IBS 제공 연구의 공동 교신저자인 성원경 ... ...
'골격근 노화 지도' 제작…근감소증 등 치료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NA와 핵단백질로 구성된 염색질에서 근감소증에 대한
민감도
와 연관을 보이는 부위도 확인됐다. 근감소증 진단 및 치료 등을 위한 잠재적인 타깃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근육은 대체로 근육 줄기세포를 통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
'뇌파'도 개인정보…콜로라도주, 美 최초 개인정보보호법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미국에서 최초로 개인의 뇌파 정보를 보호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뇌파를 이용해 몸을 움직이고 심리를 진단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뇌파를 개인정보로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 콜로라도주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인의 뇌파 정보를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누구나 뼈와 근육이 급격히 발달하는 청소년기에 키가 쑥 큰 경험이 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같은 시기 뇌 역시 급격한 발달을 겪는다. 한창 변화하는 청소년의 뇌는 성인의 뇌보다 중독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특징을 보인다. 만약 청소년인 당신이 소셜 미디어 삼매경 ... ...
항암제 최적 투약 용량 예측 수학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김은정 KIST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선임연구원(왼쪽)과 제1저자인 Masud M A 박사후연구원. KIST 제공. 항암제 내성을 고려해 최적의 투약 용량을 계산하는 수리 모델이 개발됐다.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은정 천연물인포매 ... ...
강렬한 단맛이 쓴맛 줄이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강한 단맛은 쓴맛 등 다른 미각을 둔화시킬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강한 단맛을 맛보면 쓴맛 등 다른 미각이 함께 영향을 받아 둔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각신경세포와 주변 환경의 활성이 조절되는 원리를 규명했다. 한국뇌연구원은 강경진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 ... ...
R&D예산 줄어도 학생연구원 늘어난 출연연 속사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젊은 연구자가 연구 시설에서 도구를 사용해 실험을 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정부의 이례적인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에도 올해 주요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학생 연구원 규모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현실적으로 감축하기 어려운 인력 대신 재료비와 같은 장비 비용에서 ...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과한 당을 섭취하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과한 당 섭취는 도파민 수용체의
민감도
를 감소시켜 보상 시스템의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달콤한 간식을 많이 먹는 데 익숙해지면 이후엔 더 많은 양을 먹어야 기분이 개선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는 뜻이다. 몸 속 세로토닌의 양은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어린이가 쓴 맛이 나는 약을 먹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이 쓴 맛을 인식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맛 중에서도 쓴 맛은 독성 물질을 섭취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메커니즘이 미각 수용체를 직접 조절할 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