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십억 단백질의 비밀 '머신러닝'으로 푼다…이미 680만개 해독
연합뉴스
l
2022.03.03
있지만 일부는 그 기능이 베일에 싸여있다. 빌레쉬는 단백질을 작은 기계에 비유했다.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부터 사람 같은 고등 생명체에까지 존재하면서 감염에 맞서 싸우는 일부터 학교에서 치른 시험에서 1등을 하는 일까지 많은 일들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런 단백질의 기능을 파악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2년 전으로 되돌아간 방역시계
2022.03.02
아니다. 실제로 우리 몸의 세포에서 평화롭게 공생하고 있는 ‘프로바이러스’와 ‘프로
박테리아
’도 대단히 많다. 팬데믹이 진행되면 감염성은 커지더라도 독성이 약화된 변종이 등장한다는 주장도 바이러스의 ‘적응’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 뜻에서 오미크론은 델타보다 훨씬 더 ... ...
10만년전 조상부터 현생 인류까지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족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연구팀은 개발한 알고리즘은 인간 외 다른 생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
박테리아
부터 오랑우탄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다”며 “진화의 역사를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집단유전학자인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현재 수준에서 가장 완벽한 유전체 정보에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바이오 에너지와 친환경 유기 소재를 만드는 연구에도 도전하고 있다. 그는 “전기를 띤
박테리아
를 화학적으로 조작해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전 주기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고분자를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
항생제 내성 세균은 독성 물질을 어떻게 밀어낼까
연합뉴스
l
2022.02.22
막 채널을 통과하게 안내하는 촉수와 비슷한 일을 했다. 2분자체로 합쳐진 EmrE는
박테리아
세포 안에 있던 독성 분자를 밖으로 운반했다. 이때 세포 안은 중성 페하(neutral pH)지만 밖은 산성이었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이렇게 페하(수소 이온 농도 지표)가 다른 게 EmrE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 ...
[지구는 살아있다] 세균이 만든 산소, 지구를 숨쉬게 하다
2022.02.19
지구를 산소로 채우다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세로로 잘라보면 퇴적물과
박테리아
가 차곡차곡 쌓이며 만든 ‘엽층리’라는 무늬가 나타난다. 셔터스톡/어린이과학동아DB 최초의 바다가 갓 만들어진 약 38억 년의 지구로 돌아간다면 아마 숨도 쉬지 못할 것입니다. 지구가 만들어진 후 약 10억 년 ... ...
미세플라스틱 '자폐스펙트럼'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미생물분석법인 ‘메타지노믹스 분석 기법’을 통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환자와 동일한
박테리아
변화도 관찰할 수 있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먹이사슬을 거쳐 식탁에 다시 오르는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자폐스펙트럼 장애 뿐 아니라 다른 ... ...
딥러닝 기법으로 수십초 내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검출
연합뉴스
l
2022.02.10
등 다양한 환경 내 대장균과 표피 포도상구균의 신호를 학습해 최대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를 검출·구분했다. KAIST 조성호 교수는 "의료·식품 안전 분야로 확장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지난달 18일 온라인 ... ...
슈퍼
박테리아
퇴치 원리 규명…신개념 항생제 개발 단서
연합뉴스
l
2022.02.10
이봉진 교수는 "빠른 대처가 필요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뿐만 아니라 다른 슈퍼
박테리아
관련 신개념 항생제를 설계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게재됐다. ... ...
북극 극한 바다서 300년 산 해면 먹이는 수천년 전 생물 화석
연합뉴스
l
2022.02.09
확인했다. 연구팀은 해면이 화석화한 생물의 잔해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제공하는
박테리아
의 도움을 받아 이를 먹이로 삼아온 것으로 제시했다. 해면과 생물 화석의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가 같은 것이 결정적 단서가 됐다. 논문 제1저자인 해면 전문가 테레사 모간티 박사는 "해면이 고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