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2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 타고, 초음파 타고…씨앗·
박테리아
서 영감 초소형 장치
연합뉴스
l
2021.09.23
상호작용하는지를 10년 넘게 연구해왔다. 연구팀은 처음엔 편모를 이용해 움직이는
박테리아
의 특성을 모방한 초소형 로봇을 만들었지만 동력을 얻는 것이 넘지 못할 장애물로 작용했다. 결국 덩치가 클 수밖에 없는 배터리 대신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진동수를 갖는 고출력 음파 ... ...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의 생과 사, 폐에 바이러스 얼마나 쌓이냐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주요 원인임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기존에 사망 원인으로 지목됐던
박테리아
나 곰팡이에 의한 2차 세균 감염 증거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술라이만 교수는 “바이러스가 폐 조직을 공격하고 위험한 수준의 염증을 유발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고 알려졌지만 그런 증거는 ... ...
"조산, 임신 10주에 예측 가능"
연합뉴스
l
2021.08.30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라는 특정
박테리아
가 조산 위험을 억제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채취된 자궁경부질액 분석 결과는 같았다. 이는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더 일찍 그리고 정확하게 조산을 예측할 수 있음을 ... ...
미생물이 플라스틱 만드는 과정 처음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동안 세포가 과립을 어떻게 만드는지 3차원으로 보여주는 영상도 얻었다. 이를 통해 두
박테리아
종이 PHA 과립을 어떻게 만들고 배치하는지를 찾아냈다. 연구팀은 자연 균과 인공 대장균의 차이를 줄여주는 단백질을 발견해 단백질이 PHA 생산에 영향을 주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 1저자인 최소영 ... ...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있다. 마르셀로 소사 미국 콜로라도대 생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알파폴드2를 이용해
박테리아
가 콜리스틴이라는 항생제를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백질의 모델을 만들어 항생제 내성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담 프로스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생화학 및 생물리학부 교수팀은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2018년에는 기존의 분자생물학 학설을 뒤짚는 연구도 내놨다. 진핵생물의 세포질에서도
박테리아
처럼 포밀 메티오닌이라는 특정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을 시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포밀 메티오닌이 단백질 분해신호로 작용하는 새로운 단백질 분해 경로를 발견한 것이다. 관련 연구 성과는 ... ...
포도당을 연료로 생체 내에서 움직이는 ‘나노모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의한 자율 운동은 분자, 단백질, 세포기관 등에서 핵심적인 신호요소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
는 자율 운동으로 농도가 더 높은 포도당을 향해 이동한다. 포스텍은 이인수 화학과 교수, 니티 쿠마리 연구교수, 권태완 통합과정 연구원 연구팀이 이같은 생체 자율 운동을 모방해 인공적인 움직임을 ... ...
금성 대기 중 수분 너무 적어 지구 호극성균조차 생존 못해
연합뉴스
l
2021.06.29
지난해 9월 금성 대기에서 인(燐)의 수소화합물인 '포스핀'(phosphine·PH₃)이 포착돼 혐기성
박테리아
가 내뿜었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과학 전문 매체와 외신 등에 따르면 영국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 미생물학자 존 홀스워스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금성을 비롯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복용을 중단하면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진 ‘변종’ 세균이 발생할 수 있다. ‘슈퍼
박테리아
’가 그런 경우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 ...
정전기로 공기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간균, 바이러스(MS2)를 노출시켜 병원체 제거 효율을 확인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등 실제 병원체를 정전기를 통해 제거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상업용 공기청정기에 활용되는 H13 등급 필터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수준이지만 0.025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별도의 전력공급 없이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