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뉴스
"
채집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스타 닮은 암석을 찾아라"…극한환경 미생물 증거
연합뉴스
l
2019.05.31
지질학 교수 브루스 포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옐로스톤 국립공원 매머드 온천에서
채집
한 '설퍼리하이드로제니비움 옐로스토넨세(Sulfurihydrogenibium yellowstonense)' 박테리아를 분석한 결과를 과학저널 '우주생물학(Astrobiology)' 최신호에 실었다. '설퍼리'로 불리는 이 박테리아는 약 23억5천만년 ... ...
진화와 종 분화의 실마리, 새 예쁜꼬마선충 게놈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천아·김준 연구원은 미국 하와이와 영국에서
채집
한 예쁜꼬마선충의 게놈을 해석해 비교한 결과 하와이 개체의 유전체는 영국 개체와 유전자 구조가 다른 부분이 약 3000개에 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예쁜꼬마선충이 지닌 유전자의 15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과속을 하는 이유
2019.05.05
빠르게, 빠르게, 더 빠르게 인류의 조상은 수백만 년 동안 광활한 사바나에서 수렵과
채집
을 하며 지냈습니다. 따라서 먼 거리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능력은 우리 조상에게 아주 중요한 덕목이었습니다. 사실 네 발로 걷다가 두 발로 걷게 된 이유도 바로 더 빨리, 더 멀리 다니기 위해서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폭발물을 발사해 구멍을 내 지표 아래 흙을 모으는 임무에 성공했다. 하야부사2는
채집
한 시료를 갖고 2020년 12월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이번에 ‘사이언스’에 공개한 세 편의 연구결과는 하야부사2가 류구의 주변을 돌며 관측한 첫 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 논문들은 지난 3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살며 사랑하며 늙어가며
2019.04.14
백세 시대입니다. 인류가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초유의 사태입니다. 비록 수렵
채집
사회에서도 제법 많은 사람이 60~70세를 넘도록 살았지만, 적지 않은 사람이 일찍 죽었기 때문에 ‘균형’이 맞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다릅니다. 전체 인구의 절반이 노인이라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요? 아직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강원도 삼척 추동리에서
채집
해 14번 번호를 붙인 개체는 5.6km 떨어진 지각산에서 다시
채집
이 됐다. 최대 1.5km를 이동한다는 기존 결과보다 훨씬 먼 거리인 약 6km의 머나먼 땅까지 이동했으니 참 멀리도 날아갔다. 붉은점모시나비의가 이동한 지역 간의 거리 물론 해외까지 진출하는 외래종과 ... ...
'2200개 천둥번개가 한꺼번에' 과학의 눈에 포착된 경이로운 현상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분화구를 만드는 임무에 성공하기도 했다. 하야부사2는 여기서 지표 아래 물질을
채집
한 후 다시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수마트라 오랑우탄 컨저베이션 제공 이 엑스레이 사진은 인도네시아 북 수마트라에서 3개월 된 새끼 오랑우탄이 팔이 부러져 수술을 받는 중에 찍은 사진이다. ... ...
日 소행성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에 인공 분화구 생성 성공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폭발장치를 류구의 표면에 쏘아 폭발시켜 분화구를 만든 후 다시 터치다운을 시도해
채집
하는 방식이다. 하야부사2는 앞으로 약 2주 동안 류구의 20km 고도로 서서히 상승한다. 이르면 5월 분화구에 다시 터치다운을 시도해 소행성 지하물질 채취에 나설 예정이다. 하야부사2는 47억년 전 태양계 ... ...
몸집 커진 미세먼지 관측항공기 더 많은 장비·연구원 싣고 하늘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상공 300~500m에 올라가서 다시 밸브를 열어 항공기로 유입되는 에어로졸을
채집
해 그 둘을 비교한다”고 말했다. 에어로졸은 미세먼지를 학술적으로 일컫는 말로 대기 중에 부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 미립자를 뜻한다. 항공기를 개조해 에어로졸 밸브 2개를 비행기 외부에 설치했다. 에어로졸 밸브 ... ...
日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소행성 착륙 당시 동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폭발장치를 류구의 표면에 쏘아 폭발시켜 분화구를 만든 후 다시 터치다운을 시도해
채집
하는 방식이다. 하야부사2호는 이르면 5월에는 분화구에 다시 터치다운을 시도해 소행성 지하물질을 수집할 예정이다. 분화구 표면이 너무 거칠거나 분화구의 크기가 작다면 착륙 지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고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