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료
벗
동무
교우
동지
단짝
전우
뉴스
"
친구
"(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굉장히 외향적인 반려견들
팝뉴스
l
2022.08.13
열었다. 그런데 반려견은 혼자가 아니었다.
친구
를 데려왔는데 전혀 예상하지 못한
친구
들이었다. 하나는 사슴을 데리고 왔다. 이런 일은 그래도 자주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다른 반려견은 새끼곰을 데리고 왔다. 그렇다면 주변에 엄마곰도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엄마 곰이 화가 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SNS서 부자
친구
두면 소득 올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6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SNS를 통해 오랫동안 유지되는
친구
관계가 경제적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에 대해 몇 가지 추측을 제시했다. SNS를 통해 오랫동안 유지되는 관계는 더 큰 경제적 목표를 향하게 만들거나, 취업과 관련된 정보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 ...
[주말N수학] 전자기기에 관심 많았던 12세 소년 '수학자들의 수학자'로 불리다
수학동아
l
2022.08.06
당연히 엉망이었지요. 끝나고 보니 다른 사람들은 다 가버리고 메이저 교수님과 제
친구
한 명만 남아있었어요. 그때 교수님께서 “완성된 강의든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한 정리되지 않은 강의든 들음으로써 모두 배우는 게 있다”며, 저를 위로해 주셨던 게 기억에 남아요. ▼메이저 교수의 인생이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08.06
인터뷰를 한다는 게 신기하다”고 하면서도 “분명 독자 중에서도 과학문화에 관심 있는
친구
들이 많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외계공작소의 일원으로 함께 하고 싶다면 얼마든지 편하게 연락해달라”며 “이야기를 나눌 준비가 돼있다”고 했다. 외계공작소의 공식 메일은 alienlab ... ...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2022.07.30
하나 생각했어요. 그래서 저희는 국회에도 가고, 한수원 시위도 해봤던 거예요.” 주변
친구
들은 걱정을 했다. “‘일 없잖아, 퇴사해야 하는 거 아니냐’면서 비관적인 사람이 많았어요. ‘자율주행, 자동차 같은 소프트웨어 분야로 가는 것이 어떠냐’고 이야기하기도 했죠. ‘국회 같은 데 가지 ... ...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의 수학적 업적과 자작시 4편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가 설명하는 그의 업적과 가족과
친구
들이 말하는 평소 모습 등 다채로운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학창시절 시인을 꿈꿨던 허 교수의 자작시 4편도 함께 실렸다. 허 교수와 함께 올해 필즈상을 수상한 마리아 비아조프스카 스위스 ... ...
믿을 수 없이 유연한 남자
친구
팝뉴스
l
2022.07.23
제공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공개된 사진이다. “내 남자
친구
가 믿을 수 없이 유연하다 “는 게 사진 설명이다. 사진을 보면 놀랍다. 이 남성은 몸이 고무로 만들어진 것일까? 어떻게 다리가 저렇게 유연할 수 있을까. 놀라운 뿐이다. 그런데 전혀 놀라지 않는 네티즌들도 일부 있다 ... ...
여자
친구
가 깎아준 머리
팝뉴스
l
2022.07.21
그런데 전혀 예상 못했고 또 들려서는 안 될 소리가 들여왔다. “헉”이었다. 여자
친구
가 무척 당황했다는 뜻이다. 남자의 머리는 이런 꼴이었다. 사진은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과
친구
된 개의 조상, 유럽보다 아시아 고대 늑대에 가까워
동아사이언스
l
2022.07.16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5일 표지로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늑대의 얼굴을 크게 실었다. 늑대는 특유의 집단성까지 갖춰 가장 강한 동물 중 한 종류로 꼽힌다. 유럽과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에 서식하며, 호랑이 등의 대형 맹수를 제외하면 대적할 수 있는 생명체가 없다고 알려졌다. 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뇌염예방백신을 개발하자 일본 뇌염 연구의 가치가 사라지면서 이 교수는 미국인
친구
로부터 유행성출혈열 연구로의 방향 전환을 권유받았다. 그리고 미 육군 연구개발부의 연구비로 연구에 착수하게 된다. 유행성출혈열은 1940년대 만주 주둔 일본군에서 약 1만 2000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후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