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뉴스
"
해부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400년전 미라, 유전자 검사해 보니 “동맥경화가 사망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년 전 죽은 사람의 사망 원인을 현대과학으로 찾아낸 것이다. 서울대병원 신동훈 교수(
해부
학과)팀은 서울아산병원 이은주 교수(내과)팀과 공동으로 경북 문경에서 발견된 여성 미라의 질병 유전자를 분석, ‘죽상동맥경화증에 의한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했음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 ...
프랑켄슈타인 공룡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7
적은 초기 공룡의 진화 과정을 알기위해 골반뼈와 같은 한 가지 지표가 아닌 여러
해부
학적 형태를 통합 비교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으는 추세다. ☞(관련 기사) 공룡 가족사 ‘막장 드라마’ 칠레사우르스는 오르니소스셀리다목의 조반류(Ornithischia) 공룡의 하나로 분석됐다. -University of ... ...
혹성탈출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은 과학지식 셋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체중이라면 침팬지의 힘은 사람의 2배다. 힘의 비결은 뭘까. 미국 연구진은 침팬지를
해부
해 근육을 분석한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11일자에 냈다. 침팬지의 근육 면적당 이론적 최대 힘은 사람의 1.35배에 불과했다. 근육의 기본 단위인 근섬유 구성의 차이가 사람과 침팬지의 실제 힘 ... ...
발달 장애 비밀 풀 ‘인공 뇌’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뇌’는 온 몸에 명령을 내리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해부
를 통해 대략적인 구조는 알려져 있지만 어떤 부분이 정확하게 어떤 기능을 하는지 여전히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뇌에서 일어나는 활동과 반응을 보려면 자기공명영상(MRI)처럼 간접적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최근 한국인 ... ...
최대 시속 160㎞, 참치 수영실력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23
21일자에 발표했다. 참치의 등에는 2개의 지느러미가 있다. 연구진은 참치를
해부
하며 관찰한 결과, 항문과 가까운 두 번째 등지느러미와, 항문 지느러미 사이의 공간을 발견했다. 이어 이 공간에 수분을 채우고 빼며 참치가 단단한 지느러미의 움직임을 제어해 헤엄쳐 나간다는 것까지 확인했다. ... ...
과학자들이 세포 하나에 관심을 갖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읽는 과학 - 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세포 하나를 전격적으로
해부
한다는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류는 단일세포 단위로 생명체를 분석할 수 있게 됐다. 바로 ‘단일세포 생물학’이다. 6일자 네이처는 생명의 가장 기본 단위인 세포 ... ...
우울증 일으키는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것을 증명해 지난 6일(현지시각) 학술지 ‘신경과학’에 발표했다. 메릴랜드대 의대
해부
학및신경생물학과 메리 케이 로보 교수팀은 2006년 뇌 속의 ‘측위 신경핵(이하 NAC)’에 있는 뉴런에서 발현되는 한 유전자를 발견해 Slc6a15라 명명한 바 있다. NAC는 흥분을 전달하는 도파민과 같은 ... ...
타조가 빠른 이유...두 개의 무릎뼈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7.03
종아리 사이의 연결점이 되는 , 툭 불거져 나온 관절 전체를 ‘무릎’이라 부른다.
해부
학적으로 무릎은 허벅지 안의 대퇴골과 종아리 속 경골이 만나는 부위에 있는 무릎뼈를 뜻한다. 공식 명칭은 ‘슬개골’이다. 지난 2일(현지시각) ‘2017 실험생물학 연례회의’에서 영국 ... ...
해부
하지 않고도 실험 동물 변화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8
보는 것은 당연하거니와, 약물을 투여하면서 동물의 몸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해부
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실험용 쥐가 희생된다. 약물을 투여한 뒤 약물의 양에 따라, 혹은 약물을 투여한 경과 시간에 따라 경과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약물을 투여한 ... ...
[수(獸)페셜리스트] “사람 마음을 치료하는 수의사가 되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9
치료를 하는 과정은 다르지요. 사람과 개가 다른 것처럼 특수 동물도 종류마다 생리학적,
해부
학적 특징이 모두 다르거든요. 개나 고양이만큼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끊임없이 연구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인터넷이 발달해 더 많은 사례를 인터넷으로 공유하며 전세계 수의사들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