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스페셜
"
해부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시조새와 현대 새의 중간, 조류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6
헤스티아에의 두개골은 현대 조류의 독특한 두뇌와 두개골이 생겨난 복잡한 순서와
해부
학적 특징 그리고 지능이 진화한 시기와 과정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이는 학계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조류 진화의 비밀을 푸는 단서라고 설명했다. - doi.org/10.1038/s41586-024-08114-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사실을 안 뒤 플라시보 효과가 사라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이다. 1976년 '질병
해부
학' 논문으로 의학계의 유명인사가 된 커즌스는 수년 뒤 '새터데이 리뷰'를 떠나 LA 캘리포니아대 의학부 의료인문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그가 1979년 출간한 '웃음의 치유력'은 베스트셀러가 됐다. 그러고 보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해부
학 발전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확인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었다. 의대
해부
학 수업을 도와 준 이발사들의 활약은 여기에 머물지 않고 수술법 발전에도 기여했다. 의대에서 수술법을 제대로 교육하지 않는 가운데 수술을 시도하는 의사들은 있었고 이들을 도와 주는 이들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익룡 조상 '고대 파충류', 부리·발톱으로 사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19
영국 버밍엄대 연구팀은 익룡의 초기 근연종인 ‘스클레로모클루스’라는 파충류가
해부
학적으로 라게르페티드에 더 가깝다는 분석을 2022년 내놓은 바 있다. 단 라게르페티드는 익룡처럼 하늘을 날진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익룡의 조상이지만 비행은 하지 않았던 라게르페티드의 자세한 생활상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
2023.05.30
야전병원(Mobile Army Surgical Hospital, MASH)도 래리로부터 시작되었다. 래리는 의과대학에서
해부
학과 외과학 교수로 일을 하기도 했지만 1794년에 나폴레옹을 만난 후부터 래리는 전쟁이 벌어질 때마다 나폴레옹 군대를 대표하는 군의관으로 일을 했다.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함께 간 래리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1796년 영국의 제너(Edward Jenner)가 발견했다. 제너는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8947)'에서 소개한 헌터(John Hunter)의 제자로 런던에서 공부를 하기는 했지만 조용한 시골에서 개업한 평범한 의사 중 한 명에 불과했다. 제너가 역사적으로 수시로 인류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미리 시체를 파 달라고 부탁했다는 기록도 있다. 넉넉지 않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해부
학교를 운영하면서부터 수입이 많아진 존 헌터는 닥치는 대로 표본을 모으기 시작했다. 특히 유전질환을 가진 이들의 시체는 그의 관심 대상이었다. 파리의 루브르박물관과 더불어 방대한 미술품 전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1924년 남아프리카에서 시작한다. 31세에 요하네스버그 비트바테르스란트대 의대
해부
학과 교수로 부임한 레이먼드 다트는 강의에 써먹을 요량으로 학생들에게 화석을 보면 가져오라고 부탁했다. 한 학생이 원숭이 두개골이라고 가져온 화석이 고인류임을 알아차린 다트는 ‘아프리카의 남쪽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50세에 세상을 떠났다. 다행이라면 그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해부
학자들에게 직접
해부
를 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는 점이다. 코페르니쿠스와 베살리우스가 활동한 16세기에 ‘과학(science)’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지 않았지만 오늘날에는 이들에 의해 과학적 사고와 과학자의 연구태도에 변화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Homo sapiens),
해부
학적 현대인의 기원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틀로 제시했다는 데 있다.
해부
학적 현대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우며 상당 기간 지구상에 공존했던 대표적 고인류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체 해독이 그의 핵심 연구 업적이다. 2022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