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주장한다.결론적으로 말해서 타임머신을 만드는 것은 장애물들이 많으므로 겉
보기
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생각된다. 하지만 손가락으로 뚫은 구멍을 통해 빼꼼하게 잠깐 내다보듯 극히 일부만 살짝 본 우리는 아직도 탐색해야할 것이 많다. 우리에게 과학은 늘 열려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리 주목받지 못한다. 하지만 밝은 별이 일으키는 성식은 매우 희귀할 뿐 아니라 눈으로
보기
에도 멋진 모습을 제공해 관심의 대상이 된다.올해의 경우 밝은 일등성의 별이 가려지는 성식은 안타깝게도 없었다. 지금까지 있었던 가장 밝은 성식은 지난 1월에 있었던 사자자리 에타별인, 3등급별이 ... ...
국산 고속전철 3백km 돌파하자 박수·환호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느긋하게 감상할 수 있다. 고속전철은 엄청난 속도로 달렸지만 바로 옆 풍경을
보기
전에는 속도감이 잘 느껴지지 않았다. 끊김이 없는 특수레일 위로 달리기 때문인지 소음도 크지 않았다. 한국형 고속전철은 지하철보다도 미약한 진동만 전해주면서 육상을 질주하고 있었다 ... ...
모자 미라에 바쳐진 흰 국화꽃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 학예사와 헤어진 뒤 기자는 다시 전시장 안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미라를 한번 더
보기
위해서다. 점심시간대여서인지 주위에 사람이 없다. 오래된 곶감이 연상되는 흙갈색의 피부. 얼굴은 뭉그러져 이목구비의 흔적만 남아있다. 얼굴을 덮은 천을 떼어내다 떨어져나갔다는 윗입술자리에 드러난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백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뒤 정밀한 연대측정을 통해 5천년 이상으로
보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이런 와중에 새로운 기원지로 중국 양쯔강 유역이 부상했다. 197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행해진 발굴 결과 최소한 8천년 전에 이 지역에서 벼농사가 행해졌음이 확인됐다. 그뒤 중국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후예들은 주로 복잡성의 증가로 이 문제를 환원해 설명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보기
에는 아직 이 문제에 대한 합의된 견해는 없는 것 같습니다. 오늘 토론회에 참석하신 굴드 교수는 복잡성의 증가가 통계적 환상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계신 반면, 생명 진화의 분수령들에 주목하는 도킨스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주입하는 황당한 실험을 시도했다. 자극성 있는 고추가 실제로 위점막을 손상시키는지를
보기
위해서다. 놀랍게도 실험대상자의 위에서는 아무런 손상도 관찰되지 않았다.“고추를 먹는 것은 다른 음식을 먹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만일 먹어서 위가 불편하면 삼가면 되고 별 탈이 없으면 먹고싶은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현상이 한반도 상공에서 관측된 오로라라는 사실의 과학적 근거가 된다.그렇다면 요즘은
보기
어려운 오로라를 고려시대에 유독 자주 볼 수 있었던 것은 무슨 이유일까. 가장 그럴 듯한 설명은 현재 캐나다 북부에 위치한 지자기 북극이 예전에는 한반도 가까이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때문에 ... ...
대장금의 손맛 비결은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얘기한다. 찜은 고기육질이 아주 부드러워야 맛이 좋다. 색깔이 반질반질할 정도로
보기
좋게 만들었다고 맛이 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고기육질이 부드러워지려면 간이 충분히 밸 수 있도록 시간을 충분히 들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한 원장은 “이때는 물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덧붙였다.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쌍안경에서는 희뿌옇고 아주 어두운 구름같은 존재로 나타난다. 은하의 나선팔을
보기
어렵지만 이 은하가 타원형임은 알 수 있다. 또 은하의 중심 부분이 외곽에 비해 조금 더 밝다는 사실도 눈치챌 수 있다.천체망원경으로 보면 어떨까. 초심자라면 쌍안경으로 보인다면 당연히 천체망원경에서는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