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암반으로 확인됐다. 기대가 무너졌다. 탐사팀은 다시 전열을 가다듬고 실패 요인을 따져
보기
시작했다. 탐사팀은 울릉도가 화산활동으로 생긴 섬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울릉도의 해저 지형은 일부 평탄하다가 경사가 31-50。나 되는 급격한 절벽이 나타난다. 최대수심은 약 2천2백m에 이른다. 2백m의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노안이 늦게 나타난다.노안 치료의 기본적인 방법은 돋
보기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다. 돋
보기
안경의 볼록렌즈는 수정체 역할을 해 굴절력을 높여 가까운 거리가 잘 보이게 한다.노안을 치료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으로 외눈주시법이 있다. 한쪽 눈은 먼 거리를, 다른 한쪽 눈은 가까운 거리를 볼 수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신선도 유지가 점점 개선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신선도 판단 기준은 사람의 눈이다.
보기
에 신선해보이지 않는 과일은 당연히 신선도가 떨어진다. 모든 과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신선도의 판단 기준은 꼭지부의 상태다. 꼭지가 말라비틀어졌을 경우에는 수확한 후 상당한 기간이 지난 것이므로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가량 떠있다. 다른 대상에 비해 고도가 낮아 남쪽이 탁 트인 곳이 좋긴 하지만 너무 낮아
보기
어려운 정도는 아니다.배경 잔별과 어울리는 또다른 성단 M6프톨레마이오스처럼 M7을 맨눈으로 볼 수 있을까. 초보자들에게는 뿌연 은하수 속에 위치해 있는 이 거대 산개성단이 맨눈으로 보이는지, 보이지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접근거리가 더욱 짧아지는 현상(대접근)이 나타난다. 올여름에는 이런 대접근 중에서도
보기
드물게 가까워지는 대접근이 펼쳐진다. 평소라면 탐사선이 화성에 도달하는데 10-12달이 필요하지만 이번에는 6-7달이면 충분하다. 또 가까운 만큼 화성 표면에서 탐사로봇이 얻은 정보를 지구에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 물체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짐작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멀리 있는 물체일수록 겉
보기
크기를 원래보다 큰 것으로 착각하게 되는데, 이를 ‘거리착시’라고 한다. 지평선에 떠오른 달은 지평선의 어떤 사물보다 멀리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달의 크기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더 크게 보인다는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것은 아름다운 것이고 설사 잘못 이용되더라도 과학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은 틀렸다고
보기
시작했다. 그는 “과학이 좋은 쪽으로나, 나쁜 쪽으로 응용될 수 있는데, 이것을 만든 과학자에게 책임이 없다는 것은 무책임한 말”이라고 얘기한다. 그리고 “과학자가 잠재적인 위험을 안고 있는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보인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맨눈 관측은 거의 불가능하다. M13의 겉
보기
지름은 보름달보다 약간 작은 23′ (1′= 60분의 1˚)가량이다.구상성단 M13을 처음 발견했던 사람은 핼리혜성의 재출현을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천문학자 핼리다. 그는 1714년 M13을 별과는 다른 작은 빛뭉치로서 ... ...
봄밤 처녀자리에 풍성한 은하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정확히 이 두 별의 중간쯤에 M87과 그 주변은하들이 존재한다.M87은 8.6등급에 3′ 가량의 겉
보기
지름을 가진 타원은하다. 주변에 많은 은하들을 거느린 대표주자로 망원경에서는 작고 초라한 모습이지만 처녀자리은하단을 중력적으로 지배하는 가장 거대한 은하다. 처녀자리은하단의 대장이라 할 수 ... ...
검은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돌연변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검은 고양이는 그 때문에 나오는 것입니다. 사람들
보기
엔 나빠도 고양이 자신의 건강에는 검은 털이 좋은 것입니다.한편 같은 고양이과라도 사자나 호랑이는 재규어나 고양이와 같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다고 합니다. 검은 사자, 검은 호랑이가 없는 것도 이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