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세션이 있는데, 박 소장님께서 우리나라의 이매지너리 수학 체험전을 소개하신 거예요.우리나라에 이매지너리 수학 체험전이 도입된 건 2014년이에요. 서울 세계수학자대회 개최와 한국수학의 해를 기념해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오버볼파크 수학연구소와 직접 협약을 맺어 상설 전시를 시작했어요.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보고 있는 이 순간에도 여러분의 뇌는 바삐 움직이고 있을 거예요.그리고 한 가지 더! 예쁘게 색칠해서 과학동아 e메일(ds@dongascience.com)이나 카카오톡으로 보내주시면 ‘노오력’이 돋보이는 세 분께는 재미난 과학 도서를 선물로 드린답니다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문가들은 아직 상용화까지는 최소 2, 30년은 더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황윤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가장 큰 문제는 촉매가 확보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광합성은 간단히 말해 광합성 생물 대신 전기화학장치를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르다는 사실이다. 특히 자주 사용하는 부위는 퇴행의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투수나 테니스 선수의 팔뼈는 비슷한 연령대의 일반인보다 퇴행이 심하다. 성인의 나이를 추정하기가 쉽지 않은 이유다. 그래서 법의인류학자는 좌우 치골이 맞닿는 치골 결합면(pubic symphysis)처럼 일상적인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함께 중소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예산이나 시간, 전문성이 대기업보다 부족해 새로운 기술이나 사업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정부차원에서 중소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KISTI에서 기술기회발굴(TOD) 시스템을 개발해 중소기업이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답니다.[가로에 요철이 4개, 세로에 요철이 2개인 블록 2개를 조립할 수 있는 방법은 16개예요. 2×4블록의 모양, 색깔이 다양해질수록 더욱 많은 모양을 만들 수 있지요. 블록이 6개가 되면 무려 9억 1510만 3765가지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장난감에서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것이었어요.연구팀은 이 크로미로 재미있는 상상을 해 그걸로 예술 작품으로 만들기도 했답니다.합성생물연구, 필요하다 VS 위험하다합성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는 만큼 합성생물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어요. 합성생물이 안전한지, 인공으로 생물을 만들어내는 일이 ... ...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여러분은 도우가 두꺼운 피자와 얇은 피자 중 어떤 걸 더 좋아하나요? 저는 얇은 도우 위에 토핑을 적당히 올린 이탈리아식을 좋아해요. ... 수 있는지 알겠지요? 크기가 클수록 가격대비 훨씬 효율적이라는 사실도 알았으니, 아예 커다란 피자를 시켜서 사이좋게 나눠 먹는 것도 좋겠네요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GMO 작물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아프리카 우간다의 바나나 문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바나나가 과일이 아니라 식량이다. 우간다는 아프리카에서도 바나나 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1990년대 말, 우간다에서는 해충에 의해 상당수의 바나나 나무가 죽었다. 하지만 해충에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발생하는 포논도 잘 알아야 한다.이런 연구를 응용하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필자는 앞서 소개한 파이얼스 왜곡 원리를 이용해 고체 안의 전자와 포논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전기는 잘 통하면서 열은 흐르지 않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Nature 459(72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