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문가들은 아직 상용화까지는 최소 2, 30년은 더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황윤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가장 큰 문제는 촉매가 확보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광합성은 간단히 말해 광합성 생물 대신 전기화학장치를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향성과 크기를 가진 현상을 설명하는 데 복소평면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신경과학이다. 뉴런간의 신호를 연구하는 신경과학자들은, 복소수를 이용해 신호가 오는 방향과 크기를 수학적으로 나타낸다.복소수와 복소평면 자체를 연구하는 수학자도 많다. 복소수로 이뤄진 다항함수인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A씨의 이웃이 한국인일 가능성을 한국인의 전세계 평균빈도보다 더 높여준다.위의 예에선 전체 개체군의 유전적 조성이 공간적으로 균일하지 않다는 요인이 근연도를 양수로 만들었다. 족보를 따져서 알 수 있는 혈연관계도 근연도를 양수로 만든다. 어떤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개체군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해체와는 다르게 정확히 절단돼 있는 다리의 단면이 눈에 띈다. 서울의 한강철교를 예로 들어보자. 서울 이촌동과 노량진동을 연결하는 한강철교는 총 4개 선으로 이뤄져 있고, 상부구조는 모두 트러스 형식이다. 상판은 콘크리트지만 트러스 구조는 철골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역시 절단하는 방법을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함께 중소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예산이나 시간, 전문성이 대기업보다 부족해 새로운 기술이나 사업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정부차원에서 중소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KISTI에서 기술기회발굴(TOD) 시스템을 개발해 중소기업이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생각한다”며 “본보기란 사고방식이나 세계관이 아닌 과학적 문제 해법의 한 예로서, 과학계 대부분이 존경하고 모범으로 삼는 어떤 업적을 가리킨다”고 밝혔다. 이걸 알고 나면, 어떤 비정상 인간을 과학계가 동의하는 정상 범주로 끌어올리는 기술이 여전히 장려되고 박수를 받고 있다는 불편한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맞는 카드 3장, 세트란 무엇일까요? 속성이 모두 같거나 모두 다른 카드 3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카드 3장이 모두 빨간색 다이아몬드이고, 개수가 각각 1개, 2개, 3개, 여기에 속이 채워진 것이 1장, 속이 빈 것이 1장, 줄무늬인 것이 1장이라면 이 3장의 카드가 세트입니다. 만일 속성 4개 중 2개는 같고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뉘어 실렸다.있을까1부에서는 포괄 적합도를 수학적으로 유도했다. 2부에서는 동물의 예를 들어가며 논의했다. 이 논문의 핵심을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부르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포괄 적합도는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이다사회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다음 세대에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물어 갈 수 있을 것이고 그러다 보면 그 중에 한 마리는 박씨를 물어가는 것도 있으리라 예측하고 그것을 노린 것이었다. 그때가 가장 답답하고 지루하고 초조하고 신경 쓰이는 시간이었다. 우리는 다리를 다쳤을 때 우리가 고쳐 준 4마리의 제비 중에 어느 한 마리가 혹시 박씨를 물고 갈 때까지 ... ...
- [소프트웨어] 스트링아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런데 직선으로 어떻게 곡선을 만들 수 있을까요? 함수의 원리를 이용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 y=13-x 함수를 생각해 보세요. 이 함수의 순서쌍 (0, 13), (1, 12), (2, 11), …, (12, 1), (13, 0)에서 (x, 0), (0, y)을 직선으로 이어보세요. 즉 (0, 0)과 (0, 13)을 잇고, (1, 0)과 (0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