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6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모래 입자에서 1만~10만 개에 이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모래 한 알이 미생물에게는 수만 명이 사는 ‘대도시’인 셈이다. 게다가 모래 한 알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수천 종에 이를 만큼 다양했다. 프로밴디트 연구원은 “모래에 붙어 있는 미생물은 바닷물 ... ...
- [과학뉴스]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북쪽에 있는 스터크폰테인 동굴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발 뼈 4개가 가장 먼저 발견돼 이런 애칭이 붙었다. 리틀 풋은 약 367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가장 오래된 인류 화석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동굴이 너무 어두워 화석을 손상하지 않고 분리하는 데 무려 20년이나 걸렸다. 특히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과정에서 세포수가 점차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장기의 형태를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위 세포를 배양했더니 위와 비슷하게 성장한 것이다. 실제로 다카베 다카노리 일본 요코하마시립대 교수는 2013년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인간의 간 세포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를 내피세포 등과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반대인 음이온을 유입해 뇌의 활성을 억제하는 이온채널인 ‘할로로돕신’ 역시 발견됐습니다. 연구자들은 이제 특정 뉴런을 자극했을 때와 억제했을 때 동물의 행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해 뇌의 부위별 역할을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수술 없이 뇌 치료 길 열려이런 광유전학 방법이 주목을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물감이 섞여 있는 걸 확인했지요. 그리고 보라색 물감에서 ‘카마인 레이크’ 성분을 발견했답니다. 카마인 레이크는 진한 붉은색을 띠는데, 빛을 쬐면 색이 옅어져요. 즉 고흐는 보라색 물감을 만들기 위해 파란색 물감과 붉은 카마인 레이크를 섞어서 사용했고, 붉은색이 바래면서 파란색만 남은 ... ...
- [과학뉴스] 개복치 족보 다시 쓰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알려진 지느러미 줄 등의 신체적 특징을 가진 것으로 정리했다. 이번 연구 결과로 1996년 발견 이래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물고기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개복치의 종도 개복치에서 범프헤드개복치로 바뀌게 됐다. doi:10.1007/s10228-017-0603-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잃은 졸리는 유전자 검사 결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BRCA1’ 유전자 변이가 발견돼 유방 절제술을 받았다. 맞춤형 약물 처방은 이제 첫 발을 내딛은 수준인 반면 질병 위험도를 비롯한 형질 예측은 세계적으로 이미 많은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할 만큼 빠르게 발전했다. 한국은 그간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특히 배드민턴, 테니스, 스쿼시를 비교했을 때 왼손잡이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은, 일정 기준 이상의 평균 반응 속도를 요구하는 운동에서만 왼손잡이 비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왼손투수의 귀환한국 야구에서도 이런 경향성이 드러날까. 2017년에는 ... ...
- [과학뉴스]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공동 연구팀이 고대 파충류 ‘바다사우루스 헤르조기(Vadasaurus herzogi)’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서도 육상동물과 같이 사지가 길었지요. 이는 육상동물이 ... ...
- [과학뉴스]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박물관, 몽골 과학아카데미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몽골 남부 우카톨고드에서 발견한 공룡 화석을 분석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종 공룡이 육지와 바다 양쪽에서 서식한 것으로 추정했다. 노처럼 생긴 앞 발뼈는 수영에 유리하고, 11개의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