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
!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공동 연구팀이 고대 파충류 ‘바다사우루스 헤르조기(Vadasaurus herzogi)’ 화석을
발견
했어요.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서도 육상동물과 같이 사지가 길었지요. 이는 육상동물이 ... ...
Part 2. 에 숨겨진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유전자도 분석해 봤지요. 그 결과, 꽃잎의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에서 돌연변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답니다. 해바라기가 점점 시들고 있다?!반 고흐는 그림에 노란색을 많이 사용했어요. 특히 는 꽃과 배경, 화병까지 모두 노란색 계열로 칠해져 있지요. 그런데 그림 속 노란색이 서서히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하얀 눈밭에서 춤을 추는 두루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약 1만 5000마리 정도만 남아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한강 하구에서도 많이
발견
됐지만, 주변 지역이 개발되면서 지금은 강원도 철원과 비무장지대에서만 볼 수 있지요. 앞으로도 계속 두루미가 겨울에 우리나라를 찾아올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과학뉴스]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2~6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모래 입자에서 1만~10만 개에 이르는 미생물을
발견
했다. 모래 한 알이 미생물에게는 수만 명이 사는 ‘대도시’인 셈이다. 게다가 모래 한 알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수천 종에 이를 만큼 다양했다. 프로밴디트 연구원은 “모래에 붙어 있는 미생물은 바닷물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잃은 졸리는 유전자 검사 결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BRCA1’ 유전자 변이가
발견
돼 유방 절제술을 받았다. 맞춤형 약물 처방은 이제 첫 발을 내딛은 수준인 반면 질병 위험도를 비롯한 형질 예측은 세계적으로 이미 많은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할 만큼 빠르게 발전했다. 한국은 그간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정반대인 음이온을 유입해 뇌의 활성을 억제하는 이온채널인 ‘할로로돕신’ 역시
발견
됐습니다. 연구자들은 이제 특정 뉴런을 자극했을 때와 억제했을 때 동물의 행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해 뇌의 부위별 역할을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수술 없이 뇌 치료 길 열려이런 광유전학 방법이 주목을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진한 녹색 선이 껍질을 나누고 있지요. 그 선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일치하는 것을
발견
했을 때는 정말 경이로웠습니다. 가만 생각해보니 참 재미있어요. 구린 냄새와 못난 모습으로 사람들이 피했던 과일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수학의 원리를 한껏 뽐내고 있다는 사실 말이에요. 어쩌면 이 두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항성계가 형성될 때 많은 소행성이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며, “이번 성간 소행성의
발견
은 태양계 밖의 항성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알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다닌 끝에 결국 목표를 이뤘지요. 강원도 평창에서 72시간을 기다려서 세모배매미를
발견
한 일 등 잊지 못할 추억들이 많답니다.” 배윤혁 연구원은 내년에도 전국 곳곳을 다니며 매미 탐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해요. “함께 매미 탐사를 가고 싶은 지사탐 대원이 있다면 얼마든지 환영이에요. ... ...
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전달된 거예요. 이번 지진에선 단단했던 땅이 진흙처럼 물렁해지는 ‘액상화 현상’이
발견
되기도 했어요. 지하수와 흙이 섞여 있는 지형에서는 흙 알갱이가 서로 잘 닿아 있고, 흙 사이의 공간을 지하수가 채우고 있어요(그림 ➊). 하지만 지진이 일어나면 진동으로 인해 흙 알갱이의 구조가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